'Digital > Source & sau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설치]텔레그램(telegram) PC 웹(web) 버전 (1) | 2016.02.16 |
---|---|
[아이튠즈로부터의 해방] iTools (1) | 2013.02.05 |
USB 장치 인식 실패 뜰 때 간단 해결법 (1) | 2012.09.23 |
밧데리 충전에 대한 상식 (0) | 2010.12.19 |
LSA Shell (Export Version) (1) | 2010.03.28 |
[무설치]텔레그램(telegram) PC 웹(web) 버전 (1) | 2016.02.16 |
---|---|
[아이튠즈로부터의 해방] iTools (1) | 2013.02.05 |
USB 장치 인식 실패 뜰 때 간단 해결법 (1) | 2012.09.23 |
밧데리 충전에 대한 상식 (0) | 2010.12.19 |
LSA Shell (Export Version) (1) | 2010.03.28 |
텔레그램(telegram) PC 웹(web)
버전
(setup 과정 필요없는 무설치
버전입니다. 클릭하면 이동)
PC화면에서 클릭하면 웹버전 첫 접속이신 분이라면 인증화면이 뜹니다.
국가 South Korea
선택한 후 본인의 휴대전화 번호(010-XXXX-XXXX) 입력하면,
휴대폰으로 인증번호 문자가 도착하게 됩니다.
인증 한번
해두시면 해당 IP의 컴퓨터에서는 텔레그램 웹(Web)버전 휴대폰 앱(App)버전처럼 편하게 사용가능합니다.
FlashMover 드라이버(usb 카드리더기 드라이버) (0) | 2017.05.07 |
---|---|
[아이튠즈로부터의 해방] iTools (1) | 2013.02.05 |
USB 장치 인식 실패 뜰 때 간단 해결법 (1) | 2012.09.23 |
밧데리 충전에 대한 상식 (0) | 2010.12.19 |
LSA Shell (Export Version) (1) | 2010.03.28 |
☞ 뉴욕타임즈 선정 죽기 전에 꼭 읽어야할 책 100권 (1) | 2014.06.28 |
---|---|
중고서적 (0) | 2011.03.06 |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0) | 2009.04.08 |
☞ 뉴욕타임즈 선정 죽기 전에 꼭 읽어야할 책 100권
Ⅰ. 문학
1. D.H.로렌스/ 아들과 연인/ 1913
2. 루쉰/ 아큐정전/ 1921
3. 엘리엇/ 황무지/ 1922
4.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스/ 1922
5. 토마스 만/ 마의 산/ 1924
6. 카프카/ 심판/ 1925(?)
7.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927
8. 버지니아 울프/ 등대로/ 1927
9. 헤밍웨이/ 무기여 잘있거라/ 1929
10. 레마르크/ 서부전선 이상없다/ 1929
11.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1932
12. 앙드레 말로/ 인간조건/ 1933
13. 존 스타인벡/ 분노의 포도/ 1939
14. 리처드 라이트/ 토박이/ 1940
15. 브레히트/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1941
16. 카뮈/ 이방인/ 1942
17. 조지 오웰/ 1984/ 1948
18. 사뮈엘 베게트/ 고도를 기다리며/ 1952
19.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롤리타/ 1955
20. 유진 오닐/ 밤으로의 긴 여로/ 1956
21. 잭 케루악/ 길 위에서/ 1957
22. 파스테르나크/ 닥터 지바고/ 1957
23. 치누아 아체베/ 무너져내린다/ 1958
24. 귄터 그라스/ 양철북/ 1959
25. 조지프 헬러/ 캐치 22/ 1961
26. 솔제니친/ 수용소 군도/ 1962
27. 가르시아 마르케스/ 백년 동안의 고독/ 1967
28. 움베르토 에코/ 장미의 이름/ 1980
29.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1984
30. 살만 루슈디/ 악마의 시/ 1989
II. 인문
1. 지그문트 프로이트/ 꿈의 해석/ 1900
2. 페르디낭 드 소쉬르/ 일반언어학강의/ 1916
3.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920
4. 라다크리슈난/ 인도철학사/ 1923~27
5. 지외르지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1923
6.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1927
7. 펑유란/ 중국철학사/ 1930
8. 아놀드 토인비/ 역사의 연구/ 1931~64
9. 마오쩌둥/ 모순론/ 1937
10.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이성과 혁명/ 1941
11. 장 폴 사릍르/ 존재와 무/ 1943
12. 칼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 1945
13. 호르크하이머,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1947
14. 시몬 드 보봐르/ 제2의 성/ 1949
15.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1951
16.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1953
17. 미르치아 엘리아데/ 성과 속/ 1957
18. 에드워드 헬렛 카/ 역사란 무엇인가/ 1961
19.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야생의 사고/ 1962
20. 에릭 홉스봄/ 혁명의 시대/ 1962
21.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의 이념/ 1964
22. 미셸 푸코/ 마과 사물/ 1966
23. 노엄 촘스키/ 언어와 정신/ 1968
24. 베르터 하이젠베르크/ 부분과 전체/ 1969
25.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앙티오이디푸스/ 1972
26. 에리히 프롬/ 소유냐 삶이냐/ 1976
27.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1978
28. 페르낭 브로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979
29. 피에르 부르디외/ 구별짓기/ 1979
30. 위르겐 하버마스/ 소통행위이론/ 1981
III. 사회
1. 브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무엇을 할 것인가/ 1902
2. 프레드릭 윈슬로 테일러/ 과학적 관리법/ 1911
3.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1926~37
4. 라인홀트 니버/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1932
5. 존 메이너드 케인스/ 고용.이자.화폐 일반이론/ 1936
6. 윌리엄 베버리지/ 사회보험과 관련 사업/ 1942
7. 앙리 조르주 르페브르/ 현대세계의 일상성/ 1947
8. 앨프리드 킨지/ 남성의 성행위/ 1948
9. 데이비드 리스먼/ 고독한 군중/ 1950
10. 조지프 슘페터/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1950
11. 존 갤브레이스/ 미국의 자본주의/ 1951
12. 대니얼 벨/ 이데올로기의 종언/ 1960
13. 에드워드 톰슨/ 영국노동계급의형성/ 1964
14. 마루야마 마사오/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 1964
15. 마셜 맥루헌/ 미디어의 이해/ 1964
16. 케이트 밀레트/ 성의 정치학/ 1970
17. 존 롤스/ 정의론/ 1971
18. 이매뉴얼 위러스틴/ 세계체제론/ 1976
19. 앨빈 토플러/ 제3의 물결/ 1980
20. 폴 케네디/ 강대국의 흥망/ 1987
IV. 과학
1. 알버트 아인슈타인/ 상대성원리/ 1918
2. 노버트 비너/ 사이버네틱스/ 1948
3. 조지프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 1954
4.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1962
5. 제임스 워트슨/ 유전자의 분자생물학/ 1965
6. 제임스 러브록/ 가이아/ 1978
7. 에드워드 윌슨/ 사회생물학/ 1980
8. 칼 세이건/ 코스모스/ 1980
9. 이리야 프리고진/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10. 스티븐 호킹/ 시간의 역사/ 1988
V. 예술/기타
1. 헬렌 켈러/ 헬렌 케러 자서전/ 1903
2. 아돌프 히틀러/ 나의 투쟁/ 1926
3. 마하트마 간디/ 자서전/ 1927~29
4. 에드거 스노우/ 중국의 붉은 별/ 1937
5. 아놀드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940~50
6. 안네 프랑크/ 안네의 일기/ 1947
7. 에른스트 한스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1948
8. 말콤 엑스/ 말콤 엑스의 자서전/ 1966
9. 에른스트 슈마허/ 작은 것이 아름답다/ 1975
10. 넬슨 만델라/ 자유를 향한 긴 여정/ 1994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Book] 인생 따위 엿이나 먹어라 (1) | 2014.07.08 |
---|---|
중고서적 (0) | 2011.03.06 |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0) | 2009.04.08 |
올 1월초부터 강의를 듣는데 생소한 분야의 공부인지라 녹음이 필요해서 아이폰을 이용해서 녹음을 했는데, 녹음한 음성메모 파일을 mp3 파일로 변환하고 싶은데 아이튠즈를 통해야 하는 것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사진 파일이나 여타 다른 파일들도 아이튠즈를 통해야만 파일 이동이 되는 상황이 불편했던 차에 이 모든 것을 말끔하게 해결해주는 프로그램을 발견했다.
아래 zip파일 오른쪽 마우스 눌러 다른이름으로 대상저장
[iPhone_파일전송_free]iTools0329E.zip
최신버전 다운로드는 아래 사이트 참고
http://pro.itools.cn/itools3_en
사용법은 웹에서 검색해보니 자세한 설명이 있어 따로 작성하지 않는다. 몇몇 오타만 수정했다.
아래글 [출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fixgn&logNo=150152761815
[초간단,초스피드] 아이폰음성메모컴퓨터로옮기기, 녹음파일옮기기/아이툴즈다운로드
아이폰 음성메모 컴퓨터로 옮기기
스피드하게
설치없이
쉽게 할수있는
아이폰 음성메모 컴퓨터로 옮기는 방법입니다.
먼저 아이툴즈란 프로그램을 받아주세요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노 설치
노 동기화 입니다.
아이폰 음성메모 컴퓨터로 옮기는 프로그램
아이툴즈 다운로드 - http://pds23.egloos.com/pds/201207/19/65/iTools0329E.zip
다운로드받으신 아이툴즈는
설치가 필요없는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아이툴즈를 실행시켜 보면 이런 창이 뜨죠
아이폰 음성메모 컴퓨터로 옮기기
컴퓨터와 장비를 연결하고 기다리면
아이튠즈와 비슷한 인터페이스가 나옵니다.
왼쪽 카테고리의 media항목을 누릅니다.
아이폰 음성녹음파일 컴퓨터로 옮기기
미디어를 눌러 들어가면
오른쪽에 카테고리가 생깁니다.
맨밑에 마이크모양의 voice memos를 눌러줍니다.
아이툴즈를 이용한 아이폰 음성메모 컴퓨터로 옮기기
아이폰에 들어있던
음성메모 목록들이 뜹니다.
아래 그림처럼 간단히 드래그 하여 옮겨줍니다.
아이폰음성메모컴퓨터로옮기기
저는 바탕화면에 옮겼습니다.
성공적으로 이동 완성
아이툴즈로 간편하게 아이폰 음성메모 옮기기
정말 쉽죠?
아이튠즈처럼 동기화 잘못해서
데이터가 날라가지도 않고 간편하게
아이폰의 음성메모를 옮길수있답니다.
이로써 아이폰 음성메모 컴퓨터로 옮기기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FlashMover 드라이버(usb 카드리더기 드라이버) (0) | 2017.05.07 |
---|---|
[무설치]텔레그램(telegram) PC 웹(web) 버전 (1) | 2016.02.16 |
USB 장치 인식 실패 뜰 때 간단 해결법 (1) | 2012.09.23 |
밧데리 충전에 대한 상식 (0) | 2010.12.19 |
LSA Shell (Export Version) (1) | 2010.03.28 |
영화 '건축학개론'을 보고 난 후... (1) | 2012.04.06 |
---|---|
2011 8월 셋째주 주말 서울 풍경 (0) | 2011.08.21 |
오월에 만난 이들 (1) | 2011.05.22 |
아이폰 트위터 독수공방 이미지 (0) | 2010.06.26 |
6.2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0) | 2010.05.25 |
아이튠즈 10.7로 업데이트 한 후 iOS6으로 아이폰을 업데이트 하려하는데 자꾸만 'USB 장치 인식 실패'라고 뜬다.
각기 다른 컴퓨터 3대로 시도해봤으나 역시 마찬가지..
웹에서 검색을 해봤다.
간단한 해결방법을 블로그에 남겼는데 댓글을 보니 의외로 해결되었다는 이들이 눈에 띈다.
댓글을 남긴다고 남겼는데 댓글이 올라가질 않는다.
암튼 퍼왔다.
[아래 글 출처] http://runuo.kr/gangpung/577#imagePopup
USB 장치 인식 실패 해결
잘되던 USB 포트에서 갑자기 어느날? 장치 인식 실패가 자꾸 뜬다. 보통 요즘 컴퓨터들은 앞뒤쪽 모두 USB포트가 자릴 잡고 있는데, 앞쪽에는 인식이 되는데 뒤쪽에서 자꾸 말썽이다.
왜일까???? ㅡ_ㅡa
장치관리자에서 USB목록을 보니 뭔가 이상한 놈이 튀어보인다. 혹시 이 놈 때문일까?
과감하게 사용안함~ 선택하니 잘된다. ㅡㅡ;;
혹, 다른 분들도 갑자기 USB포트에서 인식을 안할 경우 저와 같이 해보세요. 저만 그런건지...
아니면 저게 해결책이 맞는지... ㅡ_ㅡa
※ 태그(4)[전체] : USB 장치 인식 실패, USB 포트, 장치관리자, 범용 직렬 버스 컨트롤러
[무설치]텔레그램(telegram) PC 웹(web) 버전 (1) | 2016.02.16 |
---|---|
[아이튠즈로부터의 해방] iTools (1) | 2013.02.05 |
밧데리 충전에 대한 상식 (0) | 2010.12.19 |
LSA Shell (Export Version) (1) | 2010.03.28 |
대중교통정보 관련 유용한 사이트 (0) | 2009.06.23 |
소녀의 본능 카툰 모음 (2) | 2012.05.05 |
---|---|
재미삼아 한 번 해보세요. 잠재의식 테스트 (0) | 2010.05.06 |
오늘의 점심메뉴 (0) | 2010.02.09 |
[추천url] (0) | 2010.02.04 |
남산도서관에서 (1) | 2010.01.31 |
윤혜진님은 자신의 블로그에서 소녀의 본능 카툰은 패러디라고 자처했다지만 내가 볼 땐 표절이 맞다.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않았다면 모를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왠지 이 카툰들 내 맘을 자꾸만 끌어당긴다.
그렇다고해서 표절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그냥 단순한 호기심이다.
아래의 카툰들은 SNS서비스 TraceTrail의 ',너또한'님께서 메일로 보내주신 것들임을 밝힌다.
★생년월일로 보는 나의 전생★ (0) | 2012.08.26 |
---|---|
재미삼아 한 번 해보세요. 잠재의식 테스트 (0) | 2010.05.06 |
오늘의 점심메뉴 (0) | 2010.02.09 |
[추천url] (0) | 2010.02.04 |
남산도서관에서 (1) | 2010.01.31 |
나꼼수 고맙고 고맙고 고맙다
지상파 방송과 조중동 찌라시는 안보고 산지 이미 오래되었다.
너희들로부터 정보를 습득하며 살아간다.
쫄지말고 씨바 끝까지 가보자
한·미 FTA 관련 정보 (0) | 2011.12.04 |
---|
마요네즈병 이야기 (0) | 2012.10.25 |
---|---|
2011 8월 셋째주 주말 서울 풍경 (0) | 2011.08.21 |
오월에 만난 이들 (1) | 2011.05.22 |
아이폰 트위터 독수공방 이미지 (0) | 2010.06.26 |
6.2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0) | 2010.05.25 |
노무현 대통령의 추천 안희정 (0) | 2010.06.13 |
---|---|
붉은악마 거리응원 결정과 관련하여... (0) | 2010.06.10 |
반성의 촛불 (0) | 2010.05.14 |
공하™의 종교관 (0) | 2010.01.30 |
쌀쌀한 날씨 덕분에... (3) | 2009.11.15 |
1. 아이폰4 : 주 기능인 핸드폰을 비롯한 팟캐스트 방송 청취 및 SNS을 비롯한 각종 커뮤니케이션, 메일, 유튜브, 카메라, 인터넷, 캘린더, 지도검색, 금융, 증권, 게임, 이미지 편집, 사전 및 번역, 그 외 생활의 편의와 관련된 앱 사용
2. 갤럭시 노트 : 주로 동영상 강의 수강 용도
3. 코원 O2 : 주로 DMB, 동영상 강의 수강, 영화감상 용도
4. SPH-M4500 : 주로 알람, 한자사전 용도
5. 한성컴퓨터 넷북 SPARQ : 각종 상품 구매 및 인터넷 검색, 그래픽 프로그램 활용, HTML 편집, 그 외 아이폰4로 불가능한 여타 기능의 작업이 필요할 때
최종병기 활(2011)과 아포칼립토(2006)
무척이나 닮아있다.
사진에서 고향으로 되돌아오는 스토리도 그러하고, 주인공 주변인물들의 죽음 또한 주인공의 최종 목적을 향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1대多의 싸움에서 승리하고 최종 맞수까지 맞닥트리는 구성은 너무도 똑같다.
아마도 최종병기 활을 만든 김한민 감독이 멜깁슨이 만든 아포칼립토를 봤다고 필자는 확신해본다.
최종 결말은 약간 다르지만 희망이라는 단어는 두 영화 공히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포칼립토의 주인공 표범 발은 부족의 부활을 책임져야 하는 막중한 임무와 함께 앞으로는 서양세력과 싸워야 하는 더욱 험난한 시절을 무사히 버텨내야 하기 때문에 끝까지 목숨을 건지지 않았을까?
이에 반해 최종병기 활의 주인공 남이는 동생 자인을 살려 처남 서군에게 맡기며 훗날을 맡기고 죽음을 맞이한다.
넓게 보면 우리 민족이 자인과 서군의 후손임을 떠올려볼 때, 아포칼립토의 스토리와 크게 다를 바 없다.
물론 아포칼립토의 표범 발 부족이 현재까지 존재하는지 혹은 상상속의 부족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마야시대의 어느 부족의 이야기 정도로만 이해하고 영화를 봐도 충분하다.
여배우들의 강인함은 두 영화 모두 공히 최고라 말할 수 있다.
아포칼립토의 여배우 세븐은 폭우가 쏟아지던 날 동굴속에서 큰아들을 보살피며 수중분만을 하는 모습은 인상적이다.
한마디로 어머니는 위대했다.
최종병기 활의 자인은 화살이 어깨를 관통하는 신이후에도 꿋꿋하게 살아남는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었다.
부드러운듯 강한 여자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영화를 두 편 동시에 보면 최종병기 활이 좀 시시해보일 수도 있다.
그 규모나 스피드 면에서 아포칼립토를 따라잡기에는 무리가 있어보인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부분을 떠올리면서 본다면 무척 흥미로운 영화감상이 되지 않을까?
별점
최종병기 활 4.5 vs 아포칼립토 5
아이폰 사용하면서 접한 것들 끄적거림 (0) | 2010.01.24 |
---|
한·미 FTA로 국론이 분열되고 온나라가 어수선하다.
서울은 말할 것 없고, 광주, 전주에서도 상여가 등장하고 화형식 퍼포먼스가 벌어지기도 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대구에서도 똑같이 벌어졌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이데올로기를 국가의 헌법에서 채택하고 있다 하더라도 국민 개개인의 생각의 자유까지 통일시킬 수는 없다.
어느 국가나 진보와 보수가 있고 다툼이 있듯 우리나라 역시 보혁갈등이 있고 그 갈등의 정도가 점점 심해지고 있음을 느끼는 요즘이다.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이상 전체주의가 아닌 다원주의를 인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진보와 보수가 상호 어우러져 국론이 분열되지 않는 사회를 꿈꾼다.
필자는 2011년의 한·미 FTA에 반대론자이다.
이 곳이 대중적인, 인기있는 블로그가 아닌 관계로 얼마나 많은 분들이 접할지는 의문이지만,
이 글을 읽는 누군가는 찬성론자인 분들도 있을 것이다.
찬성하는 분들은 그 분들 나름대로 현재 정치권에서의 정치활동에 의미를 둘 것이고, 필자는 필자 나름대로 현재의 정치인들을 판단하면 되는 것이다.
필자는 한·미 FTA에 찬성한 의원들을 기억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기에 아래의 내용들을 정리하며 보관해본다.
1. 멕시코 12년 FTA의 실체
2. 경향신문에 보도된 한·미 FTA 찬성의원 명단
[이미지 출처] http://img.khan.co.kr/news/2011/11/23/01_20111124_0045_max.jpg
3. 김하늘 부장판사의 소신 발언
[아래 글 출처] http://rabyul.tistory.com/689
출처 : 코트넷 -> 대학게시판 -> 소울드레서
《인천지방법원 김하늘 부장판사 글》
4. 한·미 FTA 반대 집회에 나가면 (운좋으면)만나볼 수 있는 이들
이정희, 정동영, 심상정, 최재천, 김선동(국회 최루탄 터트린 민주노동당 의원), 나꼼수4인방, 등등
그리고 재미난 깃발을 들고 나오는 '나라 걱정에 시집못가는 노처녀연대'
나는꼼수다 1주년 기념영상 (0) | 2012.04.26 |
---|
윈도드레싱 [Window Dressing] 경제/경영 경제용어사전
기관투자가들이 결산기를 앞두고 보유종목의 종가관리를 통해 펀드수익률을 끌어올리는 것. 보통 특정종목을 집중 매수해 가격을 끌어올리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펀드매니저에게 연봉산정에 불리한 '수익률 마이너스 종목'을 처분하는 행태로써 연봉협상을 앞두고 연말 포트롤리오에 수익률이 좋은 종목만을 남기고 마이너스 종목은 아예 없애는 걸 말한다. 윈도드레싱이 발생하면 몇가지 재미있는 현상이 생긴다. 연봉산정을 위해 인위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기에 차별화장이 심화된다. 최근 선진국시장의 '오직 정보통신뿐'인 바람을 윈도드레싱의 일환으로 보는 시각은 바로 이 때문이다. 펀드매니저 입장에서는 플러스종목은 더 오르거나 최소한 유지시켜야 한다. 소위 주도주에 표를 몰아주는 전략을 쓸 수밖에 없는 것이다. 반면 투자에 실패해 마이너스가 된 종목은 아예 지워버린다. 즉 팔아치운다. 설사 오른다 해도 겨우 한달 밖에 남지 않은 연봉협상 전에 큰 폭의 상승을 기대하긴 어렵기 때문이다.
연말이 다가오면 우량 중소형주 주가가 들썩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기관투자자들이 쉽게 주가가 움직일수 있는 중소형주를 집중적으로 사들여 펀드 수익률을 관리하는 이른바 '윈도 드레싱(Window dressing)' 영향 때문이다. 외부 악재로 시장이 큰 폭으로 출렁이는 와중에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중소형주가운데 기관들도 관심을 가질만한 '알짜'들은 어떤게 있을까. 주요 증권사 '스몰캡(중소형주)' 팀장들로부터 연말 증시 유망주를 꼽아봤다. ◇"시장불안할 때는 소비재" 한병화 현대증권 스몰캡팀장은 "연말까지 유럽위기 등으로 인한 시장불안이 지속될 것"이라며 "시장불안시기에 안정적인 실적과 상승률을 보이는 소비재 부문을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의 대기업 의존도는 48%에 달해 주도산업 침체시 중소형주 투자리스크를 가중시키지만 소비관련 기업의 성장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팀장은 "2003년 이후 가계 소비지출이 역성장한 사례가 없고 국내입국 외국인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았으며 해외진출 기회확대로 내수기업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에 있다"고 강조했다. 현대증권은 삼익악기 (2,000원 ![]() ![]() ![]() 삼익악기는 프리미엄 피아노업체를 인수해 중국시장에서 본격 성장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점이, 예림당은 아동용 학습만화 '와이(Why?)' 시리즈를 통한 안정적 수익창출력에다 해외 저작권 수출을 통한 추가상승여력을 확보했다는 점이 투자포인트로 평가됐다. 선박장비 업체인 삼영이엔씨는 레저보트 시장의 성장에다 중국 연안어업 선박장비 시장 진출을 통한 수혜가 기대된다는 점이 각각 높게 평가됐다. ◇"믿을 것은 역시 실적" 우리투자증권 역시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인한 시장 불안이 변수이기는 하지만 안정적인 실적성장세를 보이는 종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근해 우리투자증권 스몰캡팀장은 "올 하반기부터 대형주 대비 중소형주의 초과수익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3분기 실적호전 종목들이 연말까지 안정적인 상승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정 팀장이 꼽은 연말까지의 최선호주는 와이지-원 (17,700원 ![]() ![]() ![]() ![]() 코스모화학은 3분기 영업이익률이 18%로 호전된 데다 황산코발트 공장 가동으로 2차전지 소재업까지 진출하고 있다는 점이, 윈스테크넷은 클라우딩 컴퓨팅 확산시 필요한 네트워크 보안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다는 점이, 태양기전은 스마트폰 대중화의 수혜를 한 몸에 받고 있다는 점이 투자포인트로 꼽혔다. ◇"IT부품주, 성장모멘텀 주목" 동양종금증권은 글로벌 IT경기 호전에 따른 IT부품주의 상승세가 좀 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현재 동양종금증권 스몰캡팀장은 "10월부터 중소형주 랠리가 이어지면서 수익률은 얼추 키를 맞춘 상태"라며 "밸류에이션 매력이 많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최 팀장은 "내년 비메모리 부문 대기업 투자증가의 수혜를 입을 종목이나 휴대폰 관련주, 아몰레드 관련주들이 유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휴대폰에서는 인터플렉스 (30,600원 ![]() ![]() ![]() "유럽위기 단기해소 어려워 연말 효과로 `미니 랠리`는 가능"한경TV 와우넷 전문가, 연말 증시 전망
실물경기 회복세 둔화…큰 폭 상승은 힘들 것 연말 쇼핑시즌 시작…IT株, 미국發 훈풍 기대 ![]() 연말에 접어든 주식시장을 지배하는 분위기는 기대보다는 불안이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25일 현재 1776.40으로 지난달 말보다 132.63포인트 하락했다. 그리스 등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변방에서 시작한 재정위기가 이탈리아를 거쳐 유럽 중심국으로 번지고 있고 미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속보치보다 0.5%포인트 낮은 연율 2.0%로 수정되는 등 실물경제 회복세도 기대에 못 미친다. 하지만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12월에는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크리스마스를 전후로 소비가 늘면서 투자심리가 회복되고 기관투자가들이 연간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주식을 매입하는 윈도 드레싱(window dressing)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예년에는 못 미치더라도 업종에 따라 제한적인 수준의 ‘미니 랠리’는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 위기 내년까지 주가에 부담” 한경TV 와우넷 전문가들은 낙관론보다는 신중론에 무게를 두고 연말 증시를 전망했다. 유럽 재정위기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고 실물경기 회복세도 둔화돼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점에서다. 한옥석 하이에셋 대표는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매도세가 거세져 수급이 악화하고 있다”며 “개인투자자들은 주식 비중을 낮추고 방어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코스피지수가 일시적으로 반등할 수도 있지만 지속성은 갖지 못할 것”이라며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과 같은 대형 악재가 나온다면 1700선도 무너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김재수 JS투자연구소 소장은 “최근 주가 하락폭이 커 12월에는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반등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소장은 “코스피지수는 연말까지 1700과 1950 사이에서 움직일 것”이라며 “대형주보다는 중소형주가 상승할 여지가 크다”고 전망했다. 안정모 부자병법 대표는 “최근 시장 분위기는 산타 랠리가 없을 것이라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며 “유럽 재정위기는 내년에도 주가에 부담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12월 코스피, 11년 중 8차례 상승 불안감 속에서도 산타 랠리를 기대하는 근거는 있다. 첫 번째 근거는 미국 연말 쇼핑 시즌이다. 미국은 지난 25일 블랙 프라이데이를 시작으로 홀리데이 시즌에 돌입했다. 11월 넷째주 금요일을 가리키는 블랙 프라이데이는 판매가 증가해 상점들이 흑자를 기록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미국소매협회(NRF)는 크리스마스 이브인 12월24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홀리데이 시즌 소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의 경험도 산타 랠리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코스피지수는 12월 한 달간 평균 2.1% 상승했다. 이 중 8차례는 전월 말 대비 상승세로 12월을 마감했다. 금융위기로 시장이 극도로 위축받은 2008년에도 코스피지수는 11월 말보다 48.40포인트(4.50%) 상승하며 한 해를 마무리했다. 박영수 대표는 “추가 하락에 대해 불안감을 갖기보다는 밸류에이션(기업 실적 대비 주가)이 낮아진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미국 쇼핑 시즌에 힘입어 올해도 산타 랠리가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동구 SB투자컨설팅 대표는 “유럽 정책당국의 대응이 빨라질 것이고 중국 긴축 완화에 대한 기대감도 살아 있다”며 “코스피지수는 1700대 중반에서 지지력을 확인한 뒤 연말에는 1960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IT·자동차부품 유망 전문가들은 산타 랠리를 기대할 수 있는 종목으로 미국 쇼핑 시즌 수혜가 예상되는 정보기술(IT) 관련주를 첫손에 꼽았다. 안 대표는 “미국의 연말 쇼핑 시즌에는 IT 제품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한다”며 “스마트폰용 연성회로기판(FPCB) 제조업체인 인터플렉스가 유망하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플렉스는 삼성전자와 애플에 FPCB를 공급하고 있어 스마트폰 판매 증가시 가장 큰 수혜를 입을 수 있는 종목”이라고 설명했다. 김 소장도 스마트폰용 SAW필터(주파수 선택 장치) 제조사인 와이솔과 카메라 모듈 생산업체인 파트론 등 IT 부품주를 추천했다. 서 대표 역시 삼성전자 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 IT주를 유망주로 꼽았다. 그는 “만도 현대모비스 등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수혜주와 LG패션 호텔신라 동양기전 등 중국 내수 관련주도 연말 랠리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한국항공우주와 엔씨소프트를 추천했다. 그는 “한국항공우주는 대주주인 정책금융공사가 지분 매각을 계획하고 있어 인수·합병(M&A) 이슈가 부각될 때마다 상승세를 탈 것”이라며 “엔씨소프트는 신작 게임인 블레이드앤소울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고 설명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
[출처]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112671131
실로암 사우나, 찜질방 (0) | 2010.12.26 |
---|
2011-08-19 홍대 주변 ~ 공덕오거리 주변 풍경
2011-08-21 용산역 ~ 서울역 주변 풍경
마요네즈병 이야기 (0) | 2012.10.25 |
---|---|
영화 '건축학개론'을 보고 난 후... (1) | 2012.04.06 |
오월에 만난 이들 (1) | 2011.05.22 |
아이폰 트위터 독수공방 이미지 (0) | 2010.06.26 |
6.2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0) | 2010.05.25 |
영화 '건축학개론'을 보고 난 후... (1) | 2012.04.06 |
---|---|
2011 8월 셋째주 주말 서울 풍경 (0) | 2011.08.21 |
아이폰 트위터 독수공방 이미지 (0) | 2010.06.26 |
6.2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0) | 2010.05.25 |
[新뽕빨이너뷰] 안희정을 만나다. (0) | 2010.05.23 |
발품에서 클릭으로…헌책시장 제2의 전성시대
s
쿠키뉴스 기사전송 2009-01-14 17:00
|
[쿠키 사회] 하나 둘씩 사라지던 헌책방이 온라인에서 화려하게 부활하고 있다. 오프라인 헌책방들은 인터넷에 홈페이지를 만드는가 하면 온라인 직거래 서점에 직접 판매자로 등록하고 있다. 기존 온라인 서점들도 경기 침체로 헌책을 사고 파는 수요가 늘자 앞다퉈 중고서적 거래코너를 개설하고 나섰다.
▶소녀시대 vs 카라, 가요계 강타… '소녀열풍' 바통 터치 |
[출처] http://news.empas.com/show.tsp/cp_ck/20090114n13442/
[참고 사이트] 북코아 http://www.bookoa.com/
"싸게 살수 있고 중고 처분 동시에" 거래량 폭증 헌책방의 ‘새로운 등장’은 가격경쟁력과 이용자의 편리성 덕택에 힘입었다. 싼값에 책을 구입한다는 이점에다가 검색을 통해 원하는 책을 산다는 온라인 특유의 편리성이 만들어낸 결과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하나 더. 독자가 한번 읽은 책을 판매하는 시장에 직접 나서는 점도 헌책방 시장의 확대를 이끌고 있다. 우선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 3월 대형 인터넷서점 중 가장 먼저 중고책 시장을 연 ‘알라딘’은 올해 1월에는 4만8251건으로 5만건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2007년 중고책 전문 온라인 서점을 개점한 ‘북코아’는 이미 판매자수 2만4000여명에 등록된 책만 370만권이 넘는다. 이전과 달리 분야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전에는 대부분 각급 학교 교재가 중고서점에서 거래됐지만 지금은 전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알라딘만 하더라도 참고서·수험서(27.6%)와 유아·어린이·청소년(20.4%) 분야 책의 거래 비율이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나머지 절반은 인문·사회(14.6%), 문학(13.8%), 경제경영·자기계발(6.7%), 외국어·사전(5.8%), 가정·건강·요리·여행(2.6%) 등이다. 장선희 알라딘 마케팅팀 대리는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학생용 참고서와 그림책의 매매가 활발해졌다”면서도 “책의 띠지 유무를 따질 만큼 중고책 매입 기준이 세분화된 일본처럼 국내 시장도 고객의 헌책 구매 취향이 보다 세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독자의 새로운 취향과 경향이 파악되면서 기존 서점들의 중고책 시장 진출도 활발하다. 오프라인 매장도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서점 ‘리브로’는 1월부터 3군데 매장에 헌책 판매 코너인 ‘유 북’을 설치했고, 온라인에서도 ‘중고숍’ 서비스를 곧 시작할 예정이다. ‘북코아’는 최근 인천에 대형 물류센터를 마련해 소규모 판매·구매자들을 지원하고 나섰다. 독자들의 의견도 긍정적이다. 독자 홍석주씨는 “오프라인 헌책방을 개인이 운영하기는 어렵지만 온라인 서점에서는 나도 서점의 대표인 셈”이라며 “온라인 서점에서는 직접 서재를 꾸미며 다른 사람들을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온라인에서 펼쳐지고 있는 ‘헌책방의 주가 상승’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갈렸다. 백원근 한국출판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선진국에선 중고 서점이 비즈니스 모델로 개발돼 규모 있는 인터넷 서점에서 ‘중고 책 광장’을 따로 운영하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은 “인터넷 서점의 마구잡이식 할인이 출판 산업의 기본을 흔들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중고서점의 등장은 무한 할인경쟁을 불러일으켜 오히려 출판 산업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비판했다. 윤성정 기자 ysj@segye.com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세계 청소년 문학상 공모] [☞세계일보 지면보기]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출처] http://news.nate.com/view/20090211n19800
중고책 취급 온라인 사이트
[매매]
알라딘 used.aladdin.co.kr
고구마 www.goguma.co.kr
북코아 www.bookoa.com
[가격비교]
고고북 www.gogobook.net
[절판,희귀도서]
북헌터 www.bookhunter.co.kr
[Book] 인생 따위 엿이나 먹어라 (1) | 2014.07.08 |
---|---|
☞ 뉴욕타임즈 선정 죽기 전에 꼭 읽어야할 책 100권 (1) | 2014.06.28 |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0) | 2009.04.08 |
아이폰 충전겸용 데이터 케이블
http://item.gmarket.co.kr/detailview/Item.asp?goodscode=177825857
http://itempage.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530812797
오픈마켓 아이템 상품 - 벌집 토종꿀 (0) | 2009.07.03 |
---|---|
트윈세이버_모모키드 (0) | 2009.04.29 |
저렴한 혹은 유용한 쇼핑 정보 (0) | 2009.04.26 |
연말 '윈도드레싱', 중소형주로 길목 지켜라 (0) | 2011.11.28 |
---|
배터리 관리 역시 신경 써야 할 부분입니다. 갤럭시S는 리튬-이온 방식의 배터리를 이용하는데, 리튬-이온 배터리는 완전방전-완전충전 회수가 1,000회(?) 정도로 제한되어 있으며 완방-완충을 반복할 때마다 용량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소모품인 것이지요. 이런 배터리를 조금이라도 오랜 기간 이용하고 싶다면 "완전방전이 되지 않도록" 수시로 충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완전히 바닥을 찍지 않게 틈틈이 충전해주면 배터리의 수명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간혹 "배터리를 완전방전 - 완전충전 해야 수명이 오래간다"라 알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는 전에 많이 쓰이던(지금도 충전식 배터리에 쓰이곤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를 오래 쓰시는 방법입니다. 니켈-카드뮴 전지는 자주 충전을 하면 되려 용량이 줄어버리는 특성(메모리현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완전 방전 및 완전 충전을 권장하고 있는 것이고, 갤S에 쓰인 "리튬-이온" 배터리는 "완전방전을 하지 않는 게" 수명에 도움이 됩니다.
[출처] http://cafe.daum.net/haircouple/M6dH/3?docid=1Ju6W|M6dH|3|20101007113818&q=eb575152vk&srchid=CCB1Ju6W|M6dH|3|20101007113818
[아래는 참고사항]
삼성 휴대폰 배터리
갤럭시S(EB575152VK)
http://www.bb.co.kr/main/model/model.php?model_id=2415703&tab_mode=3
사용모델
SHW - M110S(갤럭시)
옴니아 계열(AB514757BK)
http://www.phone4989.co.kr/ez/mall.php?cat=004002000&no=839&query=view
사용모델
SPH-M8200(와이브로 스마트폰 2)/
SCH-M710(옴니아2)/
SCH-M715(T옴니아2)/
SCH-M830(옴니아와이브로폰)/
SPH-M7350(오즈옴니아폰)/
SPH-8200(아르마니폰)/
SPH-M8400(쇼옴니아폰)
[아이튠즈로부터의 해방] iTools (1) | 2013.02.05 |
---|---|
USB 장치 인식 실패 뜰 때 간단 해결법 (1) | 2012.09.23 |
LSA Shell (Export Version) (1) | 2010.03.28 |
대중교통정보 관련 유용한 사이트 (0) | 2009.06.23 |
추억의 자료 엠파스 툴바 (0) | 2009.06.21 |
트위터 독수공방 이미지
2011 8월 셋째주 주말 서울 풍경 (0) | 2011.08.21 |
---|---|
오월에 만난 이들 (1) | 2011.05.22 |
6.2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0) | 2010.05.25 |
[新뽕빨이너뷰] 안희정을 만나다. (0) | 2010.05.23 |
故노무현대통령 1주기 추모전시회 (0) | 2010.05.10 |
나는 지난 2009년 6월 그들이 한 짓을 기억하고 있다 (0) | 2012.04.05 |
---|---|
붉은악마 거리응원 결정과 관련하여... (0) | 2010.06.10 |
반성의 촛불 (0) | 2010.05.14 |
공하™의 종교관 (0) | 2010.01.30 |
쌀쌀한 날씨 덕분에... (3) | 2009.11.15 |
붉은악마는 SK의 엠부시마케팅(매복마케팅 : 스포츠 이벤트의 공식 후원업체가 아니면서도 관련이 있는 업체라는 인상을 주는 홍보 전략) 도구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 서울광장 거리 응원 불참을 선언했다.
(출처: http://news.nate.com/view/20100609n16692)
붉은악마는 주도세력은 있지만 그 응원에 참여하면 모두가 하나된 마음으로 다 같은 붉은악마가 된다.
문제는 이 붉은악마가 축구라는 스포츠에만 열광하는 것이 아니라는데 있다.
이 붉은악마를 참여세대라고 규정하는데 상당수의 붉은악마들은 '2002월드컵 응원', '효순이·미선이 촛불', '탄핵 반대 촛불',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등 스포츠만이 아닌 정국이 혼란할 때면 어김없이 거리로 모여들어 거대한 힘을 발산했다.
정권은 진보에서 보수로 바뀐 상태이다.
현 정권을 비롯한 보수세력은 붉은악마의 이런 참여를 두려워한다.
이러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선택한 것 중 하나가 명박산성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소통의 부재와 일방통행식 집권세력의 대척점에 불교계가 있고 그중에서도 봉은사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강남의 봉은사는 봉은사에 몸담고 있는 신도들에게 우리사회의 영향력있는 이들로부터 명진스님이라는 지켜야 할 주지스님이 있다. 지난 번 도올 김용옥 교수의 일요특별법회도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붉은악마 집행부가 어떤 의도로 봉은사앞을 응원장소로 선택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서울시를 비롯한 정부에서는 간단하게 생각할 일이 아닌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래서 서울시측에서 시청앞 서울광장에서 함께 응원하자고 제의도 해온 모양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들의 조직된 힘이라는 말에서도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음을 상기하면 보수세력의 근심은 더욱 극대화된다.
6.2 지방선거에서 겨우 서울시장 재선에 성공한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한 한나라당과 정부의 버팀목이라 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 강남. 이곳에서의 붉은악마의 대규모 응원을 통해 자칫 정치적인 언행이라도 등장한다면 혹은, 우리 국가대표팀이 계속 승리하여 응원할 날이 길어진다면 ?? 정치에 관심없는 이들도 자연스럽게 현 정국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이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정부나 보수세력 입장에서는 상상하기도 싫을 것이다.
날짜상으로 어제 서울지역 길거리 응원 장소를 공지하겠다고 했으나 내부 의사가 아직 정리되지 않은 모양이다.
필자는 붉은악마 집행부의 선택을 존중하며 그들이 응원하는 곳이 시청앞이든 봉은사앞이든 함께 할 것이다.
참고로 위의 글에서 말하는 보수에는 우리 사회에서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실천에 옮기는 건전한 보수는 포함되지 않았음을 밝힌다.
나는 지난 2009년 6월 그들이 한 짓을 기억하고 있다 (0) | 2012.04.05 |
---|---|
노무현 대통령의 추천 안희정 (0) | 2010.06.13 |
반성의 촛불 (0) | 2010.05.14 |
공하™의 종교관 (0) | 2010.01.30 |
쌀쌀한 날씨 덕분에... (3) | 2009.11.15 |
오늘 서울역 앞에 설치된 6.25 한국전쟁 사진전
말이 좋아 사진전이지 사진만 전시된 것도 아니고 표어로 보이는 글귀들이 수두룩해 순 정치쇼라고 밖엔 달리 할말이 없더라.
그리고 보수표 결집시키고자 노력하는 것은 알겠는데... 6.25 아직 멀었거든, 한 달 동안 안보장사하려는 불순한 의도는 뭐냐고..
천안함 희생자들을 여기서도 울궈먹고 있었고, 국가안보가 어떻다느니, 나라가 힘들 때 달려와준 UN연합군들의 국가가 어디 어디였었다며, 주최측이 미국의 간섭을 영원히 바라는 듯 외세의 개입을 아주 좋아라 하는 듯 여겨지는건 필자만의 착각이었을까?
우리역사에 대해 새삼 부끄러움이 밀려왔다.
그냥 곧바로 고개를 돌렸다.
전쟁 당시야 도움받았다지만 이제 우리 스스로가 자립할 시점도 훨씬 지났건만 여전히 외세를 끌어들이려는 작태, 이제 속지않는 국민들도 많건만...
우리는 조용하던 북한에서 선거철만 다가오면 한번씩 지랄을 떤다는 뉴스를 접하곤 했다.
김현희의 KAL기 폭파사건이 대표적일 것이다. 재미있게도 보수라 지칭하는 수구꼴통들이 정권을 잡았을 때 이러한 뉴스가 주로 뜬다는 점이다.
이번 6.2 지방선거와 관련해서도 천안함사건을 북한의 소행이라고 떠들어대고 있으며, 여기에 여자간첩을 잡았다는 보도까지 등장했다.
다 옳다손치더라도 왜 하필 이 시점이냐는 것이다.
지들에게 불리한 개인 혹은 단체의 행동은 철저히 규제하면서, 지들에게 유리한부분은 적극 부각시키는 어설픈 작태
이제는 그만 둘 때도 되지 않았는가?
정치인들은 다 똑같다며 정치인들 욕은 누구보다도 잘하면서 정작 그들을 심판할 수 있는 투표에는 시간 아깝다며 전혀 관심없는 민주주의 무임승차자들에게 외친다. 민주주의라는 정치이데올로기는 그 특성상 참여로 이루어진다. 선관위가 말하는 '투표로 말하세요'는 국민들의 참여를 의미하는 광고이다.
제발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으면 정치인들 욕하지마라. 너희에겐 그런 자격없다. 너희 무임승차자들이 그토록 좋아하는 정치인들욕하기를 계속 즐기고 싶다면 이번 투표에 참여해라.
그런 후에 정치인들 욕하자.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오월에 만난 이들 (1) | 2011.05.22 |
---|---|
아이폰 트위터 독수공방 이미지 (0) | 2010.06.26 |
[新뽕빨이너뷰] 안희정을 만나다. (0) | 2010.05.23 |
故노무현대통령 1주기 추모전시회 (0) | 2010.05.10 |
갤러리 루미나리에 (0) | 2010.05.09 |
입력:2010.05.20 13:04
2010.5.20.목요일
딴지총수
오래 전부터 안희정을 만나고 싶었다. 한 초선의원을 20여년을 보좌한 그는, 정작 그 초선의원이 대통령이 되자 청와대 대신 감옥엘 갔다. 출소 후에도 임명직은 물론 선출직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그렇게 5년 내내 낭인이었다.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케이스다. 이건 너무 잔인하지 않은가.
그런 그가 출마했다. 만나보지 않을 수 없었다.
인터뷰는 2010년 4월 28일 오후 한 시, 국회의사당이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여의도 모빌딩의 사무실에서 이뤄졌다. 본지에선 총수와 신짱이 출동했고 안희정은 인터뷰 내내 보좌관 배석 없이 혼자 응했다.
사무실은 참 담담했다. 아무런 장식도 없는 저렴한 집기에 휑한 공간들. 갑자기 10여 년 전, 부산 국회의원 낙선 직후 방문했던 노무현의 사무실이 오버랩 됐다. 그때도 꼭 이런 느낌이었다.
안: 그런데 생각보다 덩치가 꽤 좋으십니다?
총: 생각보다 덩치가 작다는 말도 많이 듣는데요? 사진이 워낙 산적으로 나와서..
안: 어디더라? 그 인터넷 티비...
총: 예. 한겨레 방송.
안: 네. 연세대 심리학 교수가 나온 거.. 그거 아주 재미있게 봤어요.
총: 하하. 재미 있었죠.
안: 어, 근데 난 그 주제로 계속 가면 교수님 올 해 문 닫을 같다.. 했었죠.
총: 으하하하. 원래 개인적으로 친한 분인데, 사실 정치적인 분은 아니고 평상시 하던 이야기였는데, 정치적이지 않으니까 그런 이야기도 그냥 있는 그대로 했던 거죠. 근데 그 방송이 그 정도 파급이 있을 줄은 예상을 못 한 부분도 있고.. 해서 접었죠.
안: 그래서 그런지 단어나 접근 방법이 전혀 다르시더라구요.
총: 정치적 압박을 평소 느껴본 적 없는 분이시다 보니 오히려 평상시 생각대로 한 거죠. 근데 세상이 요즘 그러나요. 하하. 자, 이제 인터뷰를 시작해보죠. 선거 시즌이라 인물 인터뷰를 하는 타이밍이 아니긴 하지만, 딴지일보와는 처음 인터뷰니까 오늘은 인물 인터뷰부터 시작해보죠.
안: 예.
총: 해서...이제 옛날 얘기부터 한 번 가보죠. 고대 운동권 출신 아니십니까?
안: 예.
총: 근데 제가 어디서 보니까 학교 들어가기 전에 벌써 써클을 들어가셨더라구요.
안: 예. 제가 그때 대학교를 갈려고 했던 게 학생운동을 해보겠다고 간 거였기 때문에.
총: 아니 근데 그땐 애잖아요. 애. (웃음)
안: 하하. 네. 근데 사실은 난 고등학교 들어갈 때부터 내가 애라는 생각을 안 했어요. 어른이라는 생각을 했지. 고등학교 때 제가 학교를 두 번 제적당하고 한 번은 자퇴를 했고. 그렇게 한 2년을 날백수로 놀다가...
총: 검정고시를 보고...
안: 예. 한 번은 80년에 첫 번째로 학교 제적당하고 나서는 시골 가서 농사일 좀 돕다가..
총: 첫 번째 제적은 뭐 때문에 그런 거예요?
안: 여러 가지 책을 읽었는데, 러시아 혁명사라든지. 그런데 거기 보면 트로츠키가 열 네살, 레닌이 열 여섯 살에 써클에 가입을 해요. 그 브나로드 운동, 민중 속으로, 운동을 위해서. 혁명의 전사로서. 민중과 없는 사람들 같이 좀 살자. 못 배우고 없는 사람들 위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자. 그때 그런 것이 제 이상으로 잡혔던 거죠. 그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던 차에 5.18하고 사형 건이 나왔는데, 그때 대전 내에 있는 사회과학서점에서 평천하라고 하는 신문을 만들었어요. 그 평천하 편집장이랑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고등학생들과 운동에 대해서 논의를 하다가 그 편지가 검열에 걸려가지고 소탕당한 거죠. 근데 나를 이제 잡으러 와 보니까 고등학생이란 말예요. 그래가지고 이제 다음날 학교 교장실로 왔더라구.
총: 그게 고1땐가요?
안: 네. 그런 과정을 통해 대학교 가서 학생운동을 한 번 본격적으로 해봐야겠다 싶어서 검정고시를 보고 대학시험을 봤는데, 정일학원 종합반 한 3개월 다녔어요. 그 입시학원도 뭐 성적 따지고 학원마다 레벨이 있잖아요. 그런데 나는 아무런 입증할 게 없었으니까...정일학원 원장한테 가서 이만저만한 사정으로 학교 관뒀는데 중학교 성적표 떼어 가지고가서 이만큼 성적은 되니까 수업진도 따라갈 수 있다, 하고 결국 들어갔어요. 그런데 한 4~5개월 다니고 그만 뒀어요. 이렇게 해서는 도저히 답이 안 나오겠다. 국영수만 하자. 그 짧은 기간에 이거저거 다 손 대 가지고는 답이 안 나온다. 국영수 150점 만점 맞고 170점 암기과목에서 반타작하고 체력장 20점 맞으면 고대 정도 갈 수 있겠다. 그래가지고 혼자 공부 시작했죠. 그래서 국사는 스물다섯 문제 중에 여섯 문제 맞췄죠.(웃음) 그래서 한 270점 맞아서 고대에 갔죠.
총: 근데 애잖아요. 애. (웃음) 뭔가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거 아니에요. 그게 오로지 책이었어요?
안: 나도 왜 그랬는지 몰라. (웃음) 그러니까 중 3때 박정희 죽었을 때. 아, 박정희 대통령 서거 때.(웃음) 그때 이제 주변 반응이나 선배들의 반응이나 이런 걸 보면서 박정희가 독재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부터 그게 세상을 보는 시각이 바뀌게 되는 건데...
총: 박정희, 저도 초등학교 6학년이었기 때문에 생생하게 기억나는데. 초등학생이 뭘 알아. 그런데도 울고 불도 하는 애들도 있고, 교장이 방송으로 흐느끼고 난리도 아니었거든요. 사실 나로선 애들이 왜 우는지 이해가 안 됐는데 하여간 분위기는 그랬어요. 하지만 그렇다고 거기서 갑자기 민중을 떠 올린다는 건...
안: 중학교 때 제가 존스타인 백 소설이라든가 하는 걸 많이 읽었어요. 대부분 못 사는 민중들에 대한 얘기였고 <분노의 포도> 같은 경우는 공황기 때 노동자들의 삶 이야기 아녜요? 귀농을 했던 미국사회의. 아, 그거 정말 엄청난 고통이 느껴지잖아요. 소설을 읽다보면. 그들의 사랑도 아름다웠지만 그들이 못 배우고 어려운 사람과 같이 하려고 했던 그런 정의감. 그런 데서 굉장히 영향을 받았어요.
그리고 더 거슬러 올라가 보면 초등학교 때 우리 어머님이 계몽사 한국사 이야기 열 두 권 짜리 사줘서 그걸 죽 읽었는데, 그중 가장 이해가 어려웠던 게 권력자들의 이야기들. 항상 지배자가 있고 피지배자가 있는데, 권력만 잡고 나면 그 사람이 또 예전 권력자처럼 되어버리고. 이 쳇바퀴를 어떻게 멈추나. 그걸 참 이해할 수 없고 답을 알 수가 없구나. 답답하구나. 좋은 뜻으로 출마를 했는데 그 사람도 결국 과거 권력자들과 똑 같아지는 거예요. 그리고 또 누님이 79학번, 형님이 81학번이다 보니 누님과 형님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고..
총: 누님, 형님도 운동권이셨고?
안: 예. 누님은 당시 서울 교대 나와서 박형규 목사님이 하시던 일 도우며, 거기서 노동자들 야학 강사였었죠. 야학운동을 했었죠. 노동을 하며.
총: 그럼 기본적으로는 책으로, 스스로 성장한 자생적인 운동권이네요.
안: 에이, 물론 주변에서 다 영향을 받았었겠죠. 근데 어쨌든 주로 그런 프로세스를 통해 저한테 어떤 정의감 같은 거, 옳다는 일을 내가 추구해서 이뤄내겠다는 영웅심...
총: 어릴 때 그런 애들이 대체로 참 재수 없죠.(폭소)
안: 으하하하. 그렇죠. 재수 없는데... 하여튼 그때 저는 옳다 싶으면 막 질러버리는, 어린 놈이 그런 게 있었어요. 그런 것들이 당시 시대상황과 함께, 박정희의 죽음이라든지, 70, 80년의 상황, 그리고 그런 책들. 김학준의 러시아 혁명사라든가 황석영의 어둠의 자식들... 그런 것들이 이제 제가 살았던 농촌마을의 기억들과 결합을 하고. 제가 살았던 곳이 당시 아래 마을은 소작인이 살고 윗마을은 지주 동네였어요. 저의 집은 그래도 중농이었는데 지주 마을의. 춘궁기 때는 소작인 마을이 땅 붙이는 걸로 서로 싸워요. 어렸을 때는 그걸 무심코 봤는데 근데 그게 그런 책들을 보고 나니까 그 기억들이 다시 떠오르면서, 아... 그때 그래서 봄에 그렇게 두드려 맞았던 거구나, 그 사람이. 예를 들면 그렇게 어릴 때 기억이 조금 커서 읽고 보고 한 것들과 재조합이 되는 거죠. 그러면서 제가 지금도 가지고 있는 역사의식 같은 게 성립되기 시작한 거 같아요.
총: 그러니까 정리를 좀 하면 어릴 적 겪은 환경, 소작농의 문제, 조금 커서는 책의 영향 그리고 또 형 누나가 가까운 터울로 영향을 줬고. 그런데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대학에 들어가기도 전부터 써클에 들어간다는 게, 그게 가능한 건가...
안: 그러니까 고등학교 1학년 때 운동을 하겠다고 그러면서 교과서를 죄다 팔아버렸기 때문에. 1학기 마치고 고등학교 그만 다녀야겠다고 결심했고. 그러던 차에 잡혀서 잘린 거고. 그 어린 시절의 나는 크게 한 판하고 학교를 잘릴 생각이 있었던 거죠. 학교 교육과 일반적인 지식인의 코스로는 난 가지 않을 것이다. 사르트르가 그렇게 딱 한 마디 했거든요. 지식인은 부르조아 계급의 창녀다.
총: 그러니까 어릴 땐 책을 너무 많이 읽으면 안돼. (폭소) 조또 모르는 상태에서.. (폭소)
안: 으하하하. 그렇지, 그렇지. 어쨌든 그렇게 필이 딱 꽂혀 가지고, 어린 놈이 완전 필이 꽂혀서 그냥 앞만 보고 가는 거지~(웃음)
총: 무슨 얘긴지 알겠어요. 그런 사람들 있죠. 제 생물학적 나이에 비해 터무니없이 진지하고....(폭소)
안: 터무니없이 조숙하고.(웃음)
총: 그러면서 어른들의 단어를 벌써 어릴 때 빌려 쓰는. 그런데 말이죠. 이건 제 생각인데 대충 그런 성향의 사람들이 이제 후배들이 생기면 아주 사람을 잡는다 말이죠. 써클에 들어가면 후배가 생길 거 아니에요. 걔네는 갓 대학에 들어와서 이제 막 세상 어떻게 돌아가는 지 처음으로 배우는 과정에 있는데, 이미 스스로 만땅 의식화된 선배가 씨발, 니네는 왜 그것밖에 안돼!(폭소) 그럼 거기다 대고 반박은 못해요. 후배들이. 논리에서 게임이 안 되니까. 우선 반박은 못하는데. 근데 이게 정서적으로, 몸으로 받아들여지지가 않거든요.
안: 아니 어떻게 점쟁이 같아요. 어떻게 알았어. (웃음) 제가 그걸 고백했는데, 내 인생의 가장 큰 패배이자, 최초의 패배이자...
총: 후배들 입장에선 재수 없거든 씨바.(폭소)
안: 하하하... 제 가장 큰 스승이 84학번, 1년 후배들이에요. 그 친구들이 나한테 과제를 줬어. 그 친구들 덕분에 내가 배웠죠.
총: 어떤?
안: 안 오는 거야. 애들이. 합숙 시작해야 되는데. 내 딴에는 아, 이제 2학년도 됐고 하니까 나는 이제 후배들을 잘 키울 거라는 생각에 사로 잡혀 있는데, 그래 가지고 후배들을 1학년 때부터 포섭을 해서 조직을 해서 몇 명씩 묶어 놨는데, 1학년 여름방학 돼서 집에 잠깐 인사 좀 하러 갔다 온다고 하던 애들이 안 올라오는 거야. 그러니까 이제... 그게 힘든 거야. 한편으로는 존경스럽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인간적으로 정나미가 떨어지는 거죠. 그런 상태로 후배들하고 겉돌았어요. 그게 만만찮은 문제죠. 도저히 후배들이랑 가까워지질 않았으니까. 그래서 그 후배들한테도 좋은 영향을 못 주고.
총: 그게 진짜 골 때리는 거거든요. 선배 말이 틀린 건 아냐. 틀린 건 아닌데, 우리더러 지금 당장 어쩌라는 거냐.. 부터 시작해서 왜 자기들만 그래야 하느냐.. 자기들도 대학생으로서 하고 싶은 것도 있고, 다 그런 게 있는데 왜 지금 당장 모든 걸 버리고 투사가 되어야 하느냐... 반발심과 갈등이 생기지 않을 수 없죠.
안: 그때만 해도 집안 사정이 어려워서 아르바이트를 하지 않으면 학교를 다니기 힘든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래서 아르바이트를 가야 되는데 갑자기 가투 나가거나 세미나를 해야 될 때. 그럴 때 정말 힘들거든요. 벌지 않으면 학교 다니기 힘든데.
총: 기본적인 개개인이 처한 당장의 현실을 인정해 주지 않는 거니까. 지나치게 이념화된 혹은 이상에 미친 선배 하나가 자기를 죄의식을 건드리면서 괴롭히는 거죠. (웃음)
안: 그래요. 그때 기분 아주... 그들한테 철저히 깨지면서 많은 걸 배웠어요.
둘 다 점심을 먹지 못해, 짜장을 시켜 먹기 시작했다. 여기서부터 5분간은 짜장 먹으면서 대화.
총: 그렇게 너무 일찍 진을 빼서 아직도 국회의원 한 번 안 되는 거예요.(폭소) 후루릅쩝쩝.(짜장 먹는 소리) 그러고 나서 그 왜 자살사건. 안희정 하면 제가 아는 키워드 중에 자살사건이 있어요. 남산 끌려갔다 자살미수 사건.
안: 그게 자살사건이라고까지 크게 말할 건 없구요. 87년도에 고대 지하조직 사건으로 들어갔다가 그해 9월에 풀려났는데. 남산터널 입구에서 지하 벙커에 들어가는데.. 난 처음에 거긴 지도 몰랐어요. 들어가자마자 다 벗으라고 그러더니 고무신이랑 군복 딱 던져주더니 입으라고 하더라고. 그래서 옷 다 벗었더니 그때부터 발로 걷어차고 난리가 아니더라고. 온 방은 스티로폴로 덮여 있고.
총: 방음용?
안: 죽지 말라고. 그리고 철제책상 딱 하나 있는데 철제책상 모든 모서리에도 고무패킹으로 처리가 되어 있어요. 쪄서 죽지 말라고. 거기서 초반 한 일주일 잠을 안 재웠던가. 사람이 한 일주일을 잠 안 재우고 괴롭히니까 5일째인가 오줌에서 피가 섞여 나옵니다. 노랗지 않고 새빨간 오줌이 나옵디다.
총: 환각도 본다던데.
안: 네. 그런데 다른 친구들이 당했던 거에 비하면 나는 그렇게 심하게 당했던 게 아니더라고. 몽둥이나 워커발이나 주먹질을 당하는 정도였지. 물고문은 안 했으니까. 근데 그 사이에서 조직이 다 드러나 버렸어요. 조직의 총 책임자중의 하나로서 거의 절망이었죠. 더 이상 이 조직을 지켜야 될 필요성이 깨져버린 거죠. 어찌해야 할까. 버틸만한 어떤 명분도 없는 상태가 되는 거죠. 그래서 저더러 너도 이제는 이름 하나만 불라고 하더라구요. 너도 뭘 하나 협조를 해야 한다고. 이미 조직이 와해된 상태로 절망해서 친구 두 명의 이름을 불었어요. 그러고 나니 정말 죽고 싶었죠. 그래서 혀를 깨물었는데, 당시 제가 젓가락이 통과될 정도로 앞니가 떨어져 있었어요. 그러다보니까 이게 잘 안 되는 거예요.
총: 혀를 깨물었는데.
안: 네. 앞니가 이만큼 떨어져 있으니까 이게 혀가 피가 날만큼 꽉 안 물리더라고. 그래서 할 수 없이 혀 양쪽 끄트머리를 깨물었는데, 그냥 피만 나고 말더라고.(폭소)
총: 으하하하... 그럼 더 비참하잖아.(폭소) 근데 이미 조직이 다 드러났는데도 굳이 너도 하나만 대라고 하는 건, 실제 그 이름이 꼭 필요해서가 아니라, 다 알고 있으니까, 당사자한테 완전한 패배감을 안겨 줄려고 그러는 거잖아요. 스스로 무너지고 자괴하라고. 사람을 망가뜨리는 건데...
안: 그렇죠. 실제 그 친구들은 그걸로 수배가 되거나 잡히지도 않았어요.
총: 그러니까. 걔들이 그런 짓을 해 온 역사가 한 두 달이 아니잖아요. 선수들이니까. 그리고 본인도 사실은 나이 어릴 때 아닙니까. 그런 거 한 번 겪고 나면 인간적으로 스스로 무너지게 되어 있는데...
안: 실제 제가 스스로 가지고 있던 운동가로써의 자부심이 모두 깨져 버렸죠. 그래서 저녁마다 이불을 뒤집어쓰고 혼자 울었어요.
총: 스스로에게 남사스러워서.
안: 예. 수치스러운 거죠. 쪽 팔리고. 수치스럽고.
총: 그런데 거기서 어떻게 원기를 회복하셨을까?
안: 아... 갇혀 있는 내내 내가 불었던 친구들이 나를 용서해 줄 거야... 그러면서 나는 앞으로 그들과 의절하는 것으로... 어차피 나는 더 이상 남들 앞에서 진지한 척, 멋있는 척 이야기를 하고 그런 인생은 없다. 나는 이제 보조자 역할이나 하는 것이 낫다. 이제 목숨 걸고 싸우는 그런 지도자가 되겠다고 얘기할 수는 없다.. 이미...
총: 더렵혀졌다.(웃음)
안: 네. 이제 끝났다. 하지만 그래도 내가 옳다고 믿었던 가치에 늘 종사하는 사람은 되어야겠다. 그래서 그 보조 역할을 하면서 내 인생을 살자. 이런 생각을 하면서 정리를 했죠.
총: 근데 어떤 의미에서는 그 안기부 친구들이 고마워요. 전기를 마련해줬으니까.
안: 그렇죠. 저도 그런 면이 있다 생각해요. 만약에 내게 그때의 패배가 없었다면 아마 저열한 인생이 되었을 거 같아요.
총: 훨씬 재수 없는 인간이 되었을 거예요.(웃음)
안: 하하.. 아마도... 그랬을 거예요. 그리고 84학번 후배들도 인간적으로 저를 굉장히 성숙하게 만들어 준 친구들이죠. 그때 정말로 1년 내내 힘들었었어요. 마치 처녀 총각으로부터 아이를 낳고 진정한 엄마 아빠가 되는 그 환골탈태의 과정에서 엄마아빠들이 다 시행착오를 겪고 힘들어 하잖아요? 그런 과정을 84학번 친구들이 저한테 해줬어요. 그리고 4학년 때 반종파 투쟁 품성운동을 했죠. 그때도 참 많이 배웠어요. 결과적으로 보면 다 괜한 자존심과 어깨 싸움으로 논리를 동원하는 것에 불과했다...
총: 그 시절 그런 생각을 하셨었어요? 구성체 논쟁 같은 거 했을 때도?
안: 86년 그때 고려대학교 내에 지하 써클이 열 세 개가 있었어요. 큰 써클만. 열 세 개마다 혁명이론이 다 다른 거야. 한국사회의 근본적인 모순이 뭐고, 지금 우리 주요 타격 대상은 어떻게 해야 하고, 우리는 이 시기의 어떤 싸움을 해야 되고... 열 세 개 써클마다 다 논리가 달라서 자기 써클 잘났다고. 이래가지고 사상투쟁을 막 하면서, 다른 써클 다른 정파에 대해 거의 적대적이었죠. 그렇게 싸웠는데...
총: 실은 아직도 완전히 끝나진 않았죠. 진보진영보면.
안: 네. 그때 열 세개 써클이 또 나뉘어져 NL, PD로 투쟁 위원회를 각각 구성을 했어요. 서로 관점이 다른 투쟁 위원회를. 고려대학교 민주광장에서 집회를 하는데 일반학생들이 볼 때에는 운동을 하겠다는 놈들이 서로 싸움을 하는 거예요. 거기다가 친구 하나가 내부자 합의를 깨고 따로 조직을 만들었다고 화가 나서 각목을 가지고 와 가지고서는 선배를 팼네... 전두환 노태우를 어떻게 무찌르느냐에 힘을 합쳐야 할 판에, 그걸로 함께 투쟁을 하자는 사람들이 사상이 다르다는 이유로 각목으로 선배를 두드려 패는 상황까지 가게 된 거죠.
그때 우리 내부에서 반성이 일면서 결과적으로는 이게 다 ‘써클’ 중심적으로 종파투쟁 때문에 싸움이 생긴 게 아니냐. 그래서 그 열 세 개 써클을 4학년 여름 때 다 해체 시켜 버리죠. 열 세 개 써클을 다 해체 시켜 하나의 단일한 써클을 만든 게 바로 애국학생회 라는 건데, 그 조직을 만든 것 때문에 감옥을 간 거죠. 그때 이후로는 서클 간 분열이 어느 정도 극복이 되었고, 그 결과로 전국 대학생들의 협의체인 전대협 조직이 출범하게 된 거죠. 옛날 얘기죠 머.
사실 돌아보면 그런 생각이 듭니다. 이론과 이성으로 감정을 지배하거나 컨트롤 하는 게 아니라 감정의 불길이 오히려 논리를 만들고, 생각을 만드는 거 같아요. 일체유심조라는 단어가 있긴 합니다만, 불경의 그 말이 뭘 뜻하는지 다 말할 자신은 없지만 결국 정서와 감정이 모든 걸 지배하는 것 아니겠느냐..
총: 그렇죠. 오히려 나 감정 때문에 이러는 거 아니라고 말 하려고 논리를 만들어내는 거죠. (웃음)
안: 네. 나 화난 거 아니야. 나 미워하는 거 아니야... 라고 말하려고 이론을 만들어내는 거란 생각이 들어요. 실은 화나고 미워서인데.
총: 많은 경우 그렇죠. 그게 88년이죠. 그리고나서 그 다음 해인가요. 누구더라. 김덕룡의원인가? 보좌관으로 들어갔죠?
안: 예.
총: 왜 거기 들어가셨어요?
안: 88년도 감옥생활을 하고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나왔어요. 특별 사면으로. 대략 그때가 12월인데... 그때 제 마음을 그렇게 정리했어요. 이제 운동 지도자로서의 안희정은 끝났다. 난 거세당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여태 믿어 왔던 것과 반대의 길을 갈 수는 없다. 내가 비록 지도자로서 부족했던 것이 분명하게 드러났고 또 스스로가 정말 부끄러워서 학생운동을 앞에서 이끌 수는 없다. 더 이상은.
제가 학생운동을 하면서 전대협을 조직해 전국 총학의 84, 85 학번 집행부에 강의를 한 게 몇 번이고 사람을 만난 게 몇 명이냔 말이죠. 그렇게 멋있는 척, 고상한 척 다 해놓고 남산 가서 한 달 만에 무너져 버렸단 말이죠. 그땐 정말 죽지 못하는 것이 부끄러웠죠. 그런데 그런 일들을 겪고 보니까 생명이라는 게 인위적으로 끊기가 참 어렵구나. 그런 걸 깨달았고. 두 번째로는 그런 일을 겪고 나서 이제 정치적으로 반성하고 다시 태어났다, 이런 소리를 한다는 건 참으로...
총: 남사스럽고..
안: 남사스럽고. 스스로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그러니까 조정래의 태백산맥 그 읍내의 서점아들. 그 사람처럼은 되지 말아야지. 적어도 내가 맺어왔던 관계에 대해서 내가 지킬 의무는 지켜야 한다. 그리고 내 역량을 넘어서는 과도한 구호를 내세워, 나도 망치고 조직도 망치고 사람들에게 실망감을 주는, 그런 인생을 다시는 살지 말자. 고렇게 정리를 하고 감옥을 나왔어요.
여기까지가 그의 대학생 운동권 시절.
총: 까불다가 어른이 되신 거네.(폭소)
안: 아, 나 참 부끄럽게... 흐흐흐... 그렇게 정리를 하고 감옥을 나와서 이제 아내하고 6년째 연애를 하고 있었는데 이제 결혼을 해야겠다. 지금 당장 부나방처럼, 당장 혁명할 것처럼 하지 말고 천천히 가자. 그런데 불알 두 쪽밖에 없는 사람이다 보니 결혼을 하려면 취직을 해야 되는데 그래야 돈 천 만 원이라도 대출받아 방이라도 구할 수 있지 않겠나. 그런데 보니까 취직할 데가 없어요.
국가보안법으로 정치 2범이 어디 취직이 되겠어요. 그렇다고 주민등록증을 가라로 만들어 노동하러 가자니 - 예나 지금이나 증 하나 없으면 결국 현장으로 가야 되죠 - 이미 현장은 노동자들 넘치고. 그러던 차에 김영춘 씨가 당시 김영삼 총재 곁에 있었는데, 총재 비서였으니까, 그 분이 이제 나더러 몇 학번 선배인데 하고 전화가 왔어요. 아니 내가 전화를 했던가... 하여튼 비서실을 꾸려야 되는데 니가 한 번 가 보면 어떻겠느냐. 그런 제안을 받아서 가게 된 거죠.
총: 운동을 하다 이제 취직을 한 거네요.
안: 예. 취직을 했죠. 당시 노사 분쟁이 벌어지면 사측이 당시에는 재무제표나 그런 자료를 일체 공개를 안 했어요. 그 당시만 해도 정당한 임금협상을 위해 필요한 자료도 얻기가 어려웠던 시절이고 그래서 내가 그 역할을 하게 됐죠. 자료를 구해주고.
당시 생각으로는 학생 운동의 지도자로서 패배한 사람이지만, 어떻게든 그 패배를 내 방식으로 책임을 지자. 그것은 이렇게 후방에서 조력자로 사는 것이다. 그게 내가 취해야 할 인생의 태도다. 그렇게 생각하고 살았는데, 91년 92년 되니까 김근태, 이부영 뭐 장기표까지 소위 민중운동의 지도자라고 했던 분들이 제도권에 다 들오기 시작하네..
총: 그때가 본인 나이가.
안: 스물여섯이었네요.
총: 아직 청년인데. 가만, 그럼 와이프는 고 3때 만난 게 되나요.
안: 아, 고대 동기. 83학번 동기.
총: 들어가자마자 만난 거네요?
안: 들어가서 알고 지내던 친군데 2학년 때부터 사귀기로 했죠.
총: 첫 연애와 바로 결혼. 젤 나쁜 케이스네.(폭소)
안: 우리 집사람도 그런 소리 합디다.(폭소)
총: 으하하하.. 결혼은 언제 하셨어요?
안: 89년이요.
총: 일찍 하셨네요.
안: 네. 88년 12월에 감옥에서 나오면서 89년 1월부터 김덕룡 실에 다니고 89년 12월에 결혼을 했지요.
총: 그 즈음이 인생에서 굉장히 큰 전환점이 되신 거네요. 감옥 갔다 운동 행로를 바꾸고, 결혼 하고, 취직 하고. 그런데 그렇다고 해도 아직 20대 중반에 어린 나이인데. 근데 그 시절에 정치판도 근본적으로 뒤흔들렸잖아요. 재야가 대거 제도권으로 진입하고.
안: 예. 그리고 90년 삼당 합당 할 때 저는 김덕룡 의원실에 사표 내고, 노무현 대통령은 삼당합당을 거부하고. 그리고 삼당합당 거부한 당직자들과 안 쫒아간 국회의원들 일곱 명이 모여 꼬마 민주당을 만들었죠. 그때 저는 이철 사무총장실의 비서였었어요. 그런데 91년도에 그만 뒀어요. 제가 못 있겠더라구요.
총: 왜요?
안: 정치가 과실 따먹기 게임만 하니까. 땅 자체의 기운을 높이는, 그런 일은 너무 어렵더라구요. 역사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힘과 의지로 어떤 역할을 하고 싶은 거지 그냥 이미지와 득표를 위한 공약을 하고 결국 득표를 통해 지위를 보장받고 하는, 그런 정치에 대해 정말 환멸을 느꼈어요.
총: 특별한 사건이 있었나요, 아니면...
안: 특별한 사건이 아니라 그냥 정치 자체가, 무엇이 옳은 것인가 하는 가치를 따지기보다 패싸움의 기술만 익히는 정치였어요. 정치판 자체가 늘, 만날 그런 것만 보고 배우게 되는 곳인 거죠. 패싸움의 기술. 이렇게 패볼까 저렇게 패볼까. 아, 정말 싫더라구 그런 게.
총: 체질에 안 맞았구나.
안: 그런 거 같아요. 사람이 가치가 있고 대의가 있고 명분을 있고 나서, 패는 것도 있는 거지. 나한테 서운한 게 있다고, 개인적으로 은원 관계를 따지고. 실제 속마음은 그런 거면서 겉으로는 논리를 막 만들어서 내세우고. 실은 자기들끼리의 친소 관계를 가지고 패를 모으는 것에 불과한데 거기 마치 대의명분이라도 있는 것처럼. 그리고 그 친소 관계의 핵심은 이게 나한테 유리하냐 불리하냐. 나한테 이득이면 삼키고 불리하면 뱉고. 이 공학으로 정치가 움직이는 거예요.
총: 그래서 그런 후에?
안: 그래서 92년도에 그만 두고 학교에 복학을 했어요.
총: 졸업을 해야 하니까.
안: 예. 졸업을 하기로 했으니까. 아, 당장 복학하진 않았고 제도 정치가 이런 수준이라면 차라리 돈이라도 좀 벌자, 이런 생각으로. 하방 사업을 하자. 정신노동 가지고는 안 되겠다. 육체노동으로 좀 살아보자 해 가지고 창원에 내려가서 창원 노동복지회관을 짓고 왔어요. 함바집에서 기숙하면서 막노동하면서. 수입은 좋았어요. 150만원 노가다 월급을 받았으니까. 뭐 일이 공치는 날 다 빼고도 한 150만원 수입이 되었죠.
총: 91년도라고 말씀하시니까 저도 갑자기 생각난 건데 저도 그 해에 군대 갔다 와서 쓰미 데모도(조적공 보조)를 해서 그 생활을 좀 알죠.
안: 나는 잡부였어요.(웃음) 까치발 매는 작업. 그때만 해도 그게 뭐냐..
총: 아시바.(웃음)
안: 네네. 그게 다 목재라서 외벽을 세운 다음 거기다가 까치발 매고 철제판 달아서 인부들이 작업할 수 있게. 차전놀이 할 때 받침대처럼 통나무 두 개를 엮어서 꺾어요. 하나는 기둥에 묶고. 그럼 그게 꼭 까치발처럼 보인다고 해서 까치발 맨다고 그러는데... 그러니까 철사 굵은 거 이만큼 가닥 끊어 놓은걸 허리에 차고 올라가서 붙들어 매는 거죠.
총: 까치발 작업 하셨구나..
안: 공구리도 치고.
총: 나라시하고..
안: 어. 나라시 하고..
총: 잡부 맞네 잡부(웃음)
안: 그리고 주변 청소하고(웃음)
총: 그렇게 노가다를 하다 관두고 이제..
안: 92년에 복학을 했습니다. 그런데 80년대 고등학교 때부터 운동을 하겠다고 했던 내 인생은 패배를 겪고, 90년에 동구권은 몰락하고, 3당 합당으로 반독재 전선은 붕괴되고, 전국연합 조직도 붕괴되고 그러면서 퇴역 군인의 실업문제와도 같은 그런 상황이 한꺼번에 몰려왔죠. 양심과 시대의 정의를 위해 청춘을 던졌던 사람에서 점점 시대에 뒤쳐진 천덕꾸러기 인생으로 전락하는, 그런 인생들을 너무나도 많이 보게 되죠.
형수님이 간호사하고 남편이 노동운동 상담소 하다가 그런 백수 같은 사위를 더 이상 볼 수 없다는 이유로, 또 전망도 희망도 없는 그 불투명한 결혼 생활과 남편의 무책임함에 지쳐버린 그 형수들의 반란으로, 그렇게 해서 이어지는 이혼들. 그런 것들도 너무나 많이 봤고. 운동권 출신들의 와이프들이 보통 간호사 약사 교사... 그런 직종에 있으면서 남편을 부양했거든요. 그런데 남편은 수입 하나 없으면서 역사와 민중만 이야기하고.
총: 먹고 사는 문제에 부딪히는 거죠.
안: 네. 그 현실 문제에 부딪혀서. 더구나 많은 사람들이 역사의 전선은 끝났다. 혁명의 시대는 끝났다. 당대출판사에서 나왔나요? 역사의 종말. 뭐 이런 책들에다 서른, 잔치는 끝났다. 하는 책들까지. 그 당시 사조는 탈구조주의, 해체주의, 포스트 모던, 그러니까 이제 역사고 조직이고 다 끝났으니까..
총: 각자 갈 길 가라! (웃음)
안: 네. 그거죠. 갈 길 가라. 근데 나는 그게 너무 무책임한 거야. 아니 내가 다른 사람들한테 인생 조지는 길을 가라고 선동했던 사람인데, 어떻게 그렇게 무책임하게 내가 죽겠으니까 나는 빠진다고 할 수 있나. 그런 책임감과 동시에 내가 살아온, 내 어린 인생에 대한 엄청난 자괴감. 이것이 내가 어릴 때부터 죽어도 좋다고 살아왔던 내 인생의 선택이었나. 포레스트 검프의 마지막 장면처럼 실컷 뛰다가 나 이제 집에 갈 때 됐으니까 니들도 집에가. 이런 거냐 인생이. 그건 너무 무책임한 짓 아니냐. 그런 생각이 밀려들었죠.
그런 생각을 하면서 92년도에 출판사를 하게 되는데, 그러면서 이제 수입도 많이 늘긴 했는데, 그런 고민을 하면서 한 1년 반 출판사를 하다가 노무현 대통령 책을 출판하자... 여보 나 좀 도와줘. 그 책을 만들게 됐어요. 그거를 제가 출판사 있을 때 냈어요.
총: 인연이 그렇게 된 거였구나.
안: 인연이야 그 전에도 있긴 했죠.
총: 꼬마 민주당 때.
안: 네. 그때부터 가깝게 지냈기는 했어요. 그래서 출판사 하면서 책 하나 내시죠, 하게 된 거죠. 그러다가 이제 복학을 해요. 그 시절 지난 시대 내가 인생을 조져도 좋다고 믿었던 그 믿음이, 어떤 논리적 근거였는가. 어떤 희망을 향한 것이었는가에 대해서 다시 보고 하자는 생각으로. 혁명의 시대는 끝났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혁명의 시대가 끝났다는 것인가. 그때는 뭐 자식과 마누라 빼고 다 바꾸자는 이야기가 나오던 시절이기도 하고. 그러니까 우리 하자고 했던 그 혁명은 뭐냐. 역사라는 것이 그렇게 이제 끝, 다시 시작하고 하는 문제인 것인가. 그래서 학교에 돌아가 고전들을 보기 시작했죠.
예전에는 막시즘 과의 책들을 봤다면 그때는 이제 주로 동양의 고전들, 사서삼경, 플라톤 같은. 그런 고전들을 보면서 결과적으로 역사를 더 길게 보는 법을 배우려고 했고. 그 때 그런 생각을 했던 거 같아요. 하나는 내가 너무 어린 나이부터 내 인생을 조지고 있구나. 이렇게 그냥 살기는 억울하다. 왜 갑자기 잔치는 끝났다는 거냐. 누군가 나 대신 나서주면 난 그 사람의 조력자라도 할 수 있는데. 부역자라도 해 줄 수 있는데. 다들 이제는 끝났다고 집에 가자고 하니까 그걸 받아들이기 어려웠고.
그 시절 저만 그랬던 게 아니라 심한 경우도 있었어요. 85학번 후배 하나가 정신병원에 입원을 했어요. 해서 면회를 갔는데 그 후배 놈이 무릎을 꿇고 나한테 형님 잘못했어요. 막 이러는 거야. 자기가 조금만 더 잘했었더라면 우리가 이길 수 있었다는 거야. 그러면서 막 우는 거야.
총: 무너진 거네요.
안: 뭐 학삐리와 노총 출신 부부들 깨지는 거, 마누라가 전문직으로 벌고 남편은 운동하다가 이혼하는 거. 정말 한 인생 조져도 좋으니 역사의 정의를 위해 싸우자 했던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인생을 마감을 한다는 것이 과연... 난 이것을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가 없다. 그렇다고 예전 방식으로 혁명하자고 하는 것도 전혀 비현실적이다. 혁명의 시대는 이미 아니다. 그렇다면 이제는 무엇인가. 그 고민을 하는 와중에 노무현 대통령을 만나게 된 거예요.
총: 근데 꼬마민주당 시절에 이미 노무현대통령을 봤잖아요. 근데 왜 하필 그 시점에 같이 하게 된 거예요?
안: 실은 90년 3당 합당 거부하고 나서 바로 노무현대통령이랑 일을 하고 싶었었어요. 근데 노무현 대통령 방에서는 더 이상 나를 받을 만큼의 능력이 없었어요. 워낙 박봉인데 나까지 거기 가서 일 한다고 할 수가 없었던 거죠. 그리고 당시 사무총장실 비서실에 있었는데 갑자기 노무현 의원한테 갈 수는 없는 거니까.
총: 배신이니까.
안: 네. 그리고 괜히 두 분 사이를 어렵게 만들까봐. 하여간 그래서 그때는 만날 수가 없었었고. 그런 고민들 속에서 출판사를 하고 또 독학을 하던 중에 노무현 대통령이 연구소 만들 때 같이 해보자고 제안을 해 왔죠.
여기까지가 노무현을 만나기 이전의 안희정.
총: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은 왜 안희정에게 같이 일하자는 제안을 했던 겁니까?
안: 이광재가 추천을 했더라구요. 대단한 놈이더라구.(웃음) 노무현 대통령도 제가 살아온 이력을 맘에 들어 하셨나 봐요. 중간 중간 또 이렇게 만나면 제가 이런 저런 이야기를 드린 적도 있었고. 그때라고 제가 지금 하는, 이런 이야기를 안 했겠습니까,
총: 더 했겠죠~(폭소)
안: 더 했죠. (폭소)
총: 으하하하. 사실은 이런 이야기만 했겠죠.
안: 네 하하하. 그런 문제의식에 대해서, 그러니까 혁명운동의 정신은 놓치지 않으면서 그러면서도 옛날 방식하고 다른 뭔가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뭐 그런 이야기들. 그때 제가 정리했던 개념은 막시즘의 휴머니즘은 간직하자. 과거 우리끼리의 논쟁은 오히려 막시즘의 휴머니즘은 버리고 마키아벨리즘만 가지고 살아왔다. 그런 자기비판. 그렇게 살면 안 된다. 인간이 동학을 만나면 동학이 되는 거고 막스를 만나면 막시즘이 되는 거고 황건적을 만나면 황건적이 되는 거. 결국은 인간애가 기본이다. 그렇게 정리를 했어요.
그러면서 내가 진보주의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은 이 기분을 놓치지 않는 거다. 그랬을 때 노무현대통령이 말한 게 바로 원칙과 상식이에요. 그럼 무너지지 않는 거예요. 이론은 나중이에요. 노무현 대통령이 그런 분이이에요. 그래서 노무현대통령은 삼당 합당이 되면서 모든 사람들이 막 무너지고 그랬을 때도 이 양반은 오히려 더 세게 나가요. 활기차게. 이런 원칙 없는 일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
그러니까 우리는 굉장히 고상한 관념으로 역사 투쟁을 하려고 했었던 건데, 그래서 그 고상한 관념이 깨지니까 관념으로써 역사투쟁이니 하는 것들이 다 사라져 버리고 무력해졌는데, 노무현이라고 하는 정치인에게는 오히려 현실로 생생하게 살아있는, 싸워야 될 이유가 원칙과 상식으로 있더라구요. 그게 제가 노무현 대통령이랑 일하면서 느낀 행복함의 시작이죠.
총: 그렇게 좋던가요. 노무현대통령 처음부터?
안: 아주 좋았어요. 아주 훌륭했어요. 하하하하..
이 대목에서 아주 환하게 웃는다.
여기서부터 노무현과 만남 이후.
총: 노무현 대통령이 뭐가 그렇게 달랐습니까. 그 이전 정치인들과.
안: 모든 것이 다릅니다. 품성, 합리주의, 타인에 대한 인격적 예의, 배려. 모든 것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비서라고 할지라도 그 책임과 권한을 존중해주죠. 기존의 정치인은요, 비서들에게 그냥 지시하고 비서는 그냥 하는 거예요. 근데 노무현 대통령은 회의가 끝나면 회의에서 어떤 내용이 오고 갔는지 비서들에게 와서 보고를 해요. 내가 당신들에게 보고를 해 줘야지 당신들이 일을 할 수 있는 거 아니냐. 그래서 나는 당신들에게 보고를 한다.
직무와 관련되어서 정확하게 상황들을 알려주고, 물어보면 모든 일을 오픈해줬어요. 기존의 정치인들은 절대 그런 게 없죠. 감히 물어보기도 어렵고. 절대 안 그럽니다. 뭐 그런 사소한 것부터 시작해서 노무현 대통령은 완전히 다른 종류의 정치인이었어요.그리고 그때 노무현 대통령이 나한테 한 한 마디가 당시 내 고민을 푸는데 결정적 도움이 되었죠.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어린 빨치산이, 아우 내가 빨치산이 될 때는 인민을 해방시키고 좋은 의미에서 왔는데 말이야, 빨치산 선배를 보니까 무도 훔쳐 먹고 난 실망이다. 그러니까 다른 빨치산이 한 얘기가 뭐냐면, 그렇게 불완전한 우리 인간들이 완전한 사회주의를 건설하겠다는 것이기에 사회주의 혁명이 위대한 거야. 이렇게 말을 해요. 근데 난 왠지 그게 찝찝했어어. 왠지 그 정도로는 안 되겠더라고. 아우씨, 그래도 나쁜 건 나쁜 거지. 게다가 그렇게 불완전한 인간인데 어떻게 역사가 좋아질 거라고 믿고 내가 가냐...
90년 초반에 나왔던 얘긴가. 그런 이야기가 있었어요. 민주화 양아치가 더 심하다는. 뭐 쓰면 뱉고 달면 삼키고 이리 붙고 저리 붙고 하는 정치공학적인 행보를 보면, 오히려 민주화 운동하던 사람들이 더 심하다는 소리죠. 이론을 만들어내던 영악한 사람들이 스스로 정당성을 막 만들어내서 이리저리 가져다 붙이는데, 노회한 정치인이 볼 때도 그게 참 한심해서 민주화 양아치가 더 심하다는 표현이 나온 거죠. 그런 사람들이 모여서 무슨 진보를 하느냐. 그런 정치만 보다보니까 제가 모든 게 회의스럽고 그러던 시절인데, 그때 노무현 대통령이 나에게 뭐라고 했냐면,
“ 희정씨 그거 참 어려운 주제인데. 그게 그런 거 같아. 이런 말 있잖아.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사람은 안 변하는 것 같아 내가 볼 땐.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그러니까 개체로써의 인간은 안 바뀐다는 거야. 그런데도 인류는 진보한다는 것이 신기한 것 아니냐.”
그렇게 말을 하는데, 독백처럼, 어, 그게 나한테는 몇 년을 고민하던 문제에 답을 줬어요. 그때 무슨 득도한 것처럼 중요한 대화를 주고받았던 건 전혀 아니에요. 그냥 독백처럼 한 말이에요. 그런데 시간이 지나보니까 그런 말들이 저한테는 남는 거예요. 인간이 대한 믿음이랄까. 그 대통령의 그 말씀이 지금까지 남는 거라. 개체로써의 인간은 변하지 않지만 그 개체가 모인 집단으로써의 인류는 늘 진보해 왔다. 그것이 진보주의자의 역사관 아닐까.
그렇다. 사람 하나하나에 대해 실망할 일이 아니다. 사람 하나하나에 실망하고 신념을 꺾지 말고, 인생은 뭐 다 그렇게 사는 거라고 포기하지 말자. 우리가 나이 먹으면서 사회화 되는 첫 번째 과정이 인간에 대한 실망을 조직하는 거예요. 난 이걸 사회화 과정의 첫 번째라고 봐요. 별 수 없는 거야 인간은. 똑똑한 체 하지 말고 적당히 사는 거야. 그렇게 인간에 대한 실망을 학습 시키는 것이 사회화가 되는 가장 첫 번째 내용 같아요.
인간에 대해 실망하고 나면 사람들이 적당히 살기 시작해요. 그렇게 적당히 살기 시작하면서 시민사회와 공동체적 관념도 없어지고, 불 꺼진 뉴욕, 정전된 뉴욕 밤거리 같은 인생 속에서 자본주의적 탐욕에 의해 재편되어 가는 거죠. 그렇게 인간에 대한 실망을 느꼈던 게 제가 처했던 94년까지의 상황이에요.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이 인간에 대한 희망을 제게 다시 불러일으킨 거죠.
그랬단다.
총: 그랬군요. 자, 그런데 부산시장 선거 떨어지잖아요. 고난이 시작되는 건데. 하지만 동시에 그때가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어요. 사람들이 진심을 알아주기 시작했죠. 바보 노무현 이라고 해주고.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이 그렇게 계속해서 관두고 부산 내려가고, 내려가고 한 걸 내부에선 보좌진들은 동의를 했어요?
안: 88년도에서 이겼던 부산 동구에서 92년도에는 떨어지지 않았습니까? 그것도 똑같은 사람한테. 5공의 허삼수한테. 두 번째는 택도 없이 떨어졌죠. 그리고 95년도 부산시장 선거에서 또 졌죠. 그리고 96년 종로에 와서 종로선거에서 떨어지고 98년 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이 되자마자 또 99년 초에 도 부산 출마선언을 했죠. 그때 다 반대를 했어요.
총: 너무나 당연하죠.
안: 네. 다 반대했어요. 종로에서 그냥 정치하시고 다음 대선 후보군에 들어가는 게 낫지 뭐 하러 가서 그 위험한 배팅을, 도전을 하느냐.
총: 그럼 본인도 반대하셨나요, 그때.
안: 아뇨 저는 그때 찬성했었어요. 저는 대통령의 결정을 무조건 존중했어요.
총: 그건 왜 그랬어요? 참모인데.
안: 왜냐면 나는 그 분을 믿었어요. 믿고 있었던 대장이 내린 결정이니까. 역사책에 보면 신돈이 초반에는 굉장한 사람이었어요. 막판에는 분열증이었지만. 그러니까 우리 대장이 과연 정상적 사고를 하고 있는 것인가. 정상적인 사고력을 가지고 내린 판단이라면 그렇다면 나는 따르겠다. 내가 판단할 것은 내가 믿고 따르는 사람이 정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상태인가. 내가 인간적인 관계에 얽매여 그 생각을 흐트러뜨리는 건 아닌가, 그 판단만 하면 되는 거에요.
총: 좋은 참모네...
안: 그런데 내가 봤을 때 건강에 아무런 문제가 없고 사고방식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면 그럼 저는 믿고 지지합니다. 물론 제가 한 두 번 결정적으로 반대를 한 때가 있기는 합니다.
총: 어떤 반대를 하셨어요?
안: 97년 선거에서 이인제가 나가면 나도 나간다. 이랬었어요. 노무현 대통령이.
총: 이인제 싫어하시는 건 옛날부터 대단했군요. (폭소)
안: 네. 이인제가 사이비 세대교체의 깃발을 들고, 다음 시대의 리더인양 하는 것을 나는 허용할 수 없다.
총: 왜 그 정도로 싫어하신 거예요?
안: 아, 90년 이인제씨가 3당 합당 쫒아갈 때, 그때 그냥 쫒아 간 게 아니에요. 지배적 대세가 여기 있는 거라면서. 노무현 대통령에게. 그 만찬 하는 자리에서 그랬다고 해요. 난 직접보진 않았지만. 그러면서 이인제는 상임위도 불성실하게 했죠. 그런 것들이 노무현의 기준에는 말이 안 되는 거였어요. 마지못해 3당 합당한 게 아니라 대세가 이거라면서 가는 걸 보고. 그래서 97년에 이인제 나가면 나도 나가겠다고 하셨을 때 제가 한달 반을 쫓아다니며 그 출마 선언 못하시게 말렸어요. (웃음)
총: 그건 왜 그러셨어요?
안: 음... 대통령의 도전은 그 자체가 목표여야지, 이인제를 주저앉히려고 나온다는 건... 안 되는 거 아니냐. 일단 나와서 나중에 김대중 후보를 돕는다. 그런 것도 별로 좋은 거 같진 않았어요. 온전히 노무현 후보가 스스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것도 아니고. 이인제가 나온다고 하니까 배 아파서 나온 거네. 그런 구도로 빠질 거 같은 거죠.
총: 그때 출마선언을 할 뻔도 했구나.
안: 예. 그랬어요. 그래서 그때 제가 제안했던 게 뭐나면 국민후보로 갑시다. 당시 노무현대통령은 96년도 새국민회의를 안 쫒아갔단 말이에요. 정계은퇴 번복하고 영국서 돌아오신 김대중 대통령이 530 선거 끝나고 나서 11월 첫째 주인가 새국민회의를 만들었잖아요. 그때 노무현 대통령은 정계은퇴 선언하고 있을 때였어요. 그냥 변호사 업무만 전념하겠다고. 그리고 신한국당 경선에 이인제 나온다고 하고. 그런 상황이었는데 그래서 전 나가겠다면 새국민회의가 아니라 독립적인 국민후보로 하자.
이래서 당시 민노당이 아직 없을 땐데, 그쪽 진영, 민노총 뭐 이런 그룹한테 당신들이 노무현을 후보군으로 생각할 수 있겠느냐. 그랬더니 그쪽에 결국 온 답변이 뭐냐면, 공식답변은 물론 아니었습니다만, 뭐 단일 조직이 아니니 공식답변이랄 게 있을 수 없는 상황이긴 했지만, 돌아온 답변이 운동권 출신들 모임 내에서 노무현 카드를 검토하다가 안 되겠다고 결론이 났다. 서울대 나와야 한다. 그래서 권영길 내보낸 거예요. 흠, 그때 거기 들어갔으면 어떻게 됐을까...하하하
서울대를 나오지 않아서. 웃기고들 있었던 게다.
총: 하하하하. 끝내 대통령 못 됐겠죠.
안: 그 당시 제 생각은 그렇게 나가서 결국 김대중 지지하는 거다. 끝까지 가는 게 아니라. 어차피 정권교체라고 하는 가장 큰 명분이 있었기 때문에. 김대중 이회창 싸움에서, 3자 노선을 끝까지 끌고 가선 안 된다. 그래서 마지막에 김대중 지지선언하고 들어갈 생각이 있었죠. 그게 명분과 실리가 있는 거다.
요즘 그쪽 분들 보면 정치하면서 명분만 가지고 어떠한 타협책도 얻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던데, 그건 정치가 아니거든요. 모 아니면 도. 그건 혁명의 게임이죠. 혁명운동이나 그렇게 하는 것이지. 그래서 그 때 제가 처음으로 노무현 대통령한테 정말로 세게 말렸고. 그리고 대연정 문제 때 제가 말려 보려고 했는데, 제가 청와대에 근무했던 것도 아니고 한 달에 한두 번 만나서 말려질 사람도 아니고. 2005년 5월 대연정 제안이 있기 전에 2월인가 3월에 말씀을 해주셨었어요. 나 이런 거 생각하고 있다고. 그때 전 어맛, 깜짝이야 했죠.. (폭소)
총: 으하하하하.
안: 이건 무슨 발상인가. 정말 역발상이구나. 전 그런 생각조차 못 해봤는데. 그런 면에선 역시 제가 알고 있는 대통령이다. 하지만 이게 참 대책 없는 제안이기 쉽습니다. 그 제안을 누가 어떤 식으로 받겠습니까... 이게 지금은 서로가 서로에게 자기 진지에서만 머물면서 소리만 치고 있는데 정말 싸울 거면 성문 열어놓고 백병전 하자 얘기 아니냐. 그런데 지금 사람들은 아주 편안하다. 나한테 총알 안 날라 오는 이상 이제 성문 안에서 총 쏘는 화려함만 보여주면 되는, 그 정도의 경쟁구도에서 아주 안정되어 있는 정치판에다가, 니들 그런 식으로 하지 말고 밖에 나와서 백병전 하자. 이런 제안이거든요. 지역으로 진지를 구축한 정당들에게 실질적으로 국민의 갈등을 대변하는 정당으로 전환하자는, 그런 뜻인데 이건 당사자들에게 물어봐야 된다. 그래가지고 이제 당에 상의한 건데 그 과정에서 이게 밖으로 나가버린 거예요.
민주주의는 뫼비우스 띠와 같아서 투쟁의 길을 한창 걷다가도 갑자기 타협의 길이 될 수 있는 것인데, 그게 민주주의의 뫼비우스의 띄라고 난 생각을 하는데,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어디 부분에 와 있는가. 사실은 굉장히 어려운 지점에 있는 거 같다. 그래서 난 안 했으면 좋겠다. 대통령도 이제 신중하게 한 번 생각해 보시겠다 하시고 열린우리당 지도부한테 신중하게 한 번 상의를 하겠다고 했다가 그 얘기가 이제 나가버려서 별 수 없이 정론화 된 거예요. 물론 대통령은 그걸 할 의지가 분명히 있었지만 제대로 정리되고 그런 프로세스의 주체가 만들어지기도 나가 버린 거죠.
총: 그랬군요. 아까 부산에서 다 말릴 때 안 말렸다고 하셨는데 그리고 그 덕에 사실 대통령으로 가는 길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인데, 그런데 그건 다 결과론이고 실제로 떨어진 직후에는 좌절이잖아요. 엄청난. 그렇지 않았었나요? 제가 그 기억을 가지고 있거든요. 떨어진 직후의 침울한 노무현 사무실, 2000년 부산 시장 인가.
안: 부산 국회의원 선거
총: 아, 국회의원. 그때 인터뷰를 갔는데 회의실이라고 정말 작았어요. 테이블이 있었는데 테이블 다리가 안 맞아. 흔들거려. (웃음) 그리고 커피를 타줬는데 존나 맛이 없었어. 커피가. (폭소) 그리고 노무현대통령이랑 참 심심하게 인터뷰 했는데, 막 떨어진 양반이다보니 매가리도 없고. (웃음) 아, 이 양반 인터뷰를 해줘야겠다. 떨어졌지만 의미가 있으니 우리라도 어떻게 인터뷰 해줘야겠다 싶어서 간 건데. 그 과정에서 다른 말들은 생각이 안 나고 이 말이 생각나요.
“역사를 위해서 죽을 수도 있지요~”
뭐라고 하다가 그런 말이 나왔는지는 생각이 안 나요. 다만 그런 이야기를 그 양반이 웃으면서 했다고. 원래 그게 안 웃어야 되는 타이밍이거든요. 정치인들은 그런 이야기할 때 비장해야 폼이 난단 말이죠. 그런데 그렇게 웃어버리니까. 그 얼굴을 보고 있으니까 그게 진심이란 게 느껴지는 거죠. 연출된 게 아니고 이 사람이로 진짜 그렇게 생각하는구나. 순간적으로 그렇게 생각했던 기억이 아주 생생해요. 그래서 10년이 넘었는데 그 얼굴이 생각나요. 어쨌든 그때 그 사무실 분위기가 어땠냐 하면, 존나 침울했어요. 존나. (폭소) 아, 이제 이렇게 해서 대통령으로 가는 길에 씨앗을 뿌렸구나, 이게 아니고 존나 침울했다고요.(웃음)
안: 하하하.. 그때 총선 치르고 나서 정말 힘들었어요.
총: 그때 내부 분위기가 어땠습니까.
안: 그때는 제가 물장사를 하고 있었어요. (웃음)
총: 으히하하하하
안: 98년도 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 되시고 나서, 희정씨 나한테 현재 가장 큰 고민이 물장사다. 보증 섰다가 망하고 개자식 되어 버렸는데. 이거 어떻게 좀 도와달라는 거예요. 가만히 생각해 보니까 그렇더라구요. 요 문제를 도와주는 것이 현재 그 양반에게 가장 절실한 거구나. 그래서 주식을 다 나한테 넘겨라. 그걸 넘겨받아 가지고는 연구소를 위한 수익사업으로 추진을 했죠. 옥천에 있는 공장에 OEM으로 납품해서 수익구조를 예상하고 그 사업을 시작했는데, OEM 납품으로는 수익 구조를 제대로 남길 수가 없어서 자체 브랜드 파워를 키워서 영업 조직망을 함께 패키지로 해야겠다. 그래서 오아시스라는 판매회사를 별도법인으로 만들고 판매조직과 판매사업을 시작했죠. 그때 이제 선배들한테 투자를 받으려고 했었죠.
총: 그래서 나중에 본인이 문제가 된 건데. 근데 사실 생각해 보면 그때 상황에서보자면 노무현이 몇 년 있다가 대통령 될 거니까 미리 알아서 정치자금을 준다, 이런 거는 상상도 할 수가 없는 상황 아닙니까.
안: 그때 누가 노무현이 대통령될 거라고 생각을 해요. 심지어는 2001년에 대선후보 선언을 처음 했을 때조차...
총: 아무도 생각 안 했죠.
안: 그걸 정치자금이니 로비를 했으니 하는데, 나중에 로비자금이라고 하는 혐의는 벗어났습니다만... 하여튼 그때 저로선 정치를 하는 이상 이 사업을 하다가 내가 잘못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긴 했었어요. 하지만 지금 우리 대장 가마를 내가 메고 있는데 내가 서 있는 곳이 진흙탕이면 그냥 서 있어야지. 내가 서 있는 바퀴 쪽이 진흙 쪽이면 그럼 가마를 걸치고 서 있는 거죠. 가마 내려놓고 내 발만 마른 땅에 두겠다고 할 수는 없지요. 그렇게 해서 그때부터 2000년 총선 끝날 때까지 2년 반을 생수사업에 했죠.
그랬단다.
총: 아까 이인제 나오니까 나도 나가겠다고 하신 거 말고, 본인이, 노무현 대
통령 본인이 이제 내가 대통령을 해야 되겠다... 이렇게 결심했던 순간이 있었어요? 전 2001년에 처음 출마 선언 하셨을 때도 이게 꼭 자신이 대통령이 되겠다고 출마를 한 거라기보다는 이 판에서 자신을 역할이 있다. 그래서 나간다. 그런 정도의 느낌이었거든요.
안: 노무현식 정치 노선, 노무현 가문의 정치적 철학의 특징을 얘기하자면, 이 외형적으로는 세 바둑이에요. 집 바둑을 두지 않아요. 그러니까 내가 국회의원 되어야지, 내가 대통령 되어야지 하는 구체적인 목표를 겨냥해서 하는 그런 것이 아니라 역사와 가치라고 하는 이름의 싸움이에요.
그러니까 2002년도의 싸움이라고 하는 것은 지역주의 통합, 지역주의 정치를 극복하자. 그리고 우리 툭 까놓고 반칙 없는 사회를 만들자. 이게 목표였어요. 지역주의 정치를 그만하고 특권 없고 반칙 없는 사회를 만들자. 그리고 원칙과 상식대로 살아도 손해 보지 않는 사회를 만들자. 그래서 법치주의 사회를 만들자. 요것이 정치를 하는 이유였단 말에요.
그러니까 이것을 해야 되겠는데 필요하다면 대통령도 하는 거예요. 그리고 이것은 승패하고도 상관이 없었어요. 지든 이기든, 이 가치를 가지고 그 무대에서 싸우면 그 가치를 가지고 기여하게 되는 거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지면은 아무것도 없다고 얘길 하지만, 그건 단기 순익 얘기이고. 단기 순익이 아니라 자산 가치를 생각한다면, 전혀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죠.
그런 점에서 노무현 가문의 정치 철학은 가치 중심이에요. 이런 가치를 가지고 싸워 나가는 것, 그게 대통령 선거가 되면 대통령 후보의 자격으로 그 싸움을 하는 거에요. 자신의 급이 국회의원이면 국회의원 선거에 나서서 그 가치를 가지고 싸우는 거죠. 그러니까 국회의원이나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가치를 실현할 기회가 있으면 그러면 출전을 하는 거예요.
대표적으로 노무현 대통령이 정몽준 후보랑 후보단일화를 하던 2002년 12월 그 저녁에 이겼다고 전화를 드리니까. 어, 그래 알았네. 간단하게 한 마디만 하셨죠. 그리고 그 다음 날 만나서는 어떠세요 하고 물었어요.
왜냐면. 후보단일화 하고 각서 쓰고 또 러브샷 했던 그날 밤에, 제가 엄청 울었거든요. 평 생 모은 재산을 그 부잣집 도련님한테 한 방에 뺏기는 구나. 너무 허망하더라구. 너무 억울하고. 저 사람은 그냥 자기 용돈 조금 떼서 배팅한 거지만 우리는 평생 모은 재산을 다 배팅하는 건데. 그 상황까지 내몰린 처지가 너무나 억울하더라구. 그래서 그 왜 러브샷까지 해서 사람 속을 쓰리게 하시냐고... 대통령한테 30년 수절했던 어머니가 하루아침에 재취하는 느낌이라고.(웃음)
총 : 그것도 갑자기 나타난 부잣집 모르는 남자한테. (폭소)
안 : 그랬더니 대통령이 아, 그 친구 갑자기 러브샷하자고 들이 미는데 어떡하냐고. (웃음)
총 : 그래서 다음날 아침에 어떠냐고 하니까 뭐라고 하던가요.
안 :
“내가 단일후보로 이런 식으로 대통령이 되는 것보다도, 내가 패자가 되어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말씀을 하시더라구요. 패자로서 어떤 모습을 보여주느냐에 따라서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지 않겠는가. 승자로서 아량을 베푸는 것보다 패자로서 어떻게 행동하느냐가 더 역사의 교훈이 있지 않겠느냐, 하시더군요. 정치란 게 어차피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고, 그 생각의 변화를 통해서 시대를 바꾸자고 하는 것이 정치인데, 그렇다면 나의 역할 모델이, 패자의 역할 모델이 된다고 하더라도 나는 괜찮다. 잘할 자신이 있다.”
이렇게 말씀을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아, 맞다, 그런 거구나. 정치가 이런 거구나. 정치를 이렇게 해야 엣지가 있는 거야~ 내가 속으로 그렇게 말했죠.
참, 노무현답다.
총 : 제가 이 질문을 시작한 이유가 뭐냐면 2002년 출마했을 때 이인제가 나오니까 내가 가만히 있을 수 없다... 이런 이유도 물론 있었겠지만, 97년 때도 그러셨다고 하니까. 근데 당시 지지율이 1퍼센트 정도밖에 안 됐단 말이에요. 선언할 때만 해도.
안 : 2001년 10월에 우리가 대통령 선거를 선언했을 때는, 지지율이 한 4퍼센트 대.
총 : 그렇게까지 높았나요?(웃음)
안 : 네. (웃음) 2,3 퍼센트에서 4퍼센트까지 올라갔었고, 이인제씨가 18프로에서 20퍼센트 벽을 넘느냐 마느냐 하고 있을 때였어요.
총 : 1퍼센트는 넘었구나.(웃음)
안 : 그때 김근태 선배가 1퍼센트 밑에 있었죠. (웃음)
총 : 제가 왜 이런 질문을 하냐면, 노무현 대통령이 출마 선언했을 때 자기가 될 거라는 생각보다는, 또 대통령 자체가 목표라기보다는, 97년에 내가 구도를 만들어서 김대중을 밀겠다고 한 것처럼, 어느 시점에 누군가를 밀겠다고 출발한 건 아닙니까.
안 : 2001년도 초에 해수부 장관을 그만두셨을 때쯤 이광재 의원이랑 제가 금강빌딩에 대선사무실을 한 층 통으로 얻어버렸어요. 그리고 퇴임하신, 해수부 장관을 그만두신, 직후 노무현 의원을 금강빌딩에서 만나자고 해서 금강빌딩을 보여줬죠. 그랬더니 "잠깐 보세요" 그러는 거야. 한 쪽 방에 가서 우리를 이렇게 보더니 "자네들 이 사무실 왜 얻었어?"그러는 거야 "하셔야죠." 그랬더니... "이인제한테 질 때는 어떡하지?"
총 : 하하하하. 이인제한테.
안: 이인제 포스터 들고 선거운동 해줄 자신 있어?
총: 오, 만약 진다면.
안:
“난 자신 없어. 어떻게 이인제 같은 사람을... 그런데 경선에 붙으면 패자로서 당연히 그렇게 해줘야 하는 거 아냐? 그런데 패자가 되어서 그걸 할 자신이 없으면 아예 경선 붙지 말아야지.”
총: 음... 그렇게 생각하셨다...
안: 네. 그러면서 자네들인 지금 무슨 생각 하냐고 물으시는 거였어요. 당연히 질 수도 있고 이길 수도 있는 건데, 만약 나가게 되면 지더라도 승복을 해서 그 후 상대의 당선을 위해서 진심으로 뛰어줄 수 있는 그런 마음의 자세를 처음부터 가지고 경선을 해야 하는 건데, 자기한테는 그런 마음의 자세가 아직 안 되어 있다. 이인제 같은, 그런 정치인이 대통령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 이러면서 고민을 하셨죠.
총: 노무현다운 고민인데. 그리고 고민은 이해가 되는데. 그럼 결국 나가신 이유는 뭡니까?
안: 다른 선택이 없었던 거죠. 96년도 총선에 떨어지고 나서 노무현대통령이 했던 이야기가 있어요. 우리는 삼김 청산 하자고 했거든요. 그런데 그때 중구에서 출마했지만 잔류한 민주당 사람들이 다 떨어졌어요. 그때 이부영 정도 살아남았나? 죄다 떨어졌어요. 그때 노무현 대통령이 했던 말씀이, 이것이 현실이다. 호남의 대통령을 만들고 싶어 하는 그 사람들의 절실한 마음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이다. 이것을 삼김정치이나 보스정치니 하면서 관념으로 이기려는 자체가 억지고 무리다.
그런 자세가 정당인으로서 노무현 대통령이 가지고 있는 굉장한 유연함이고, 현실정치인으로서 현실적 판단능력인데. 지난 2008년도 7월 6일 전당대회 끝나고 민주당최고의원들 쭉 모시고 봉하마을에 인사를 갔더니 그때 김민석 최고가 지난 시절에 대해서 사과 비슷하게 유감의 발언을 하니까 노무현대통령이 앉아계시다가, 책상 탁하고 치시면서
“그 이야기는 그만해도 된다. 정당과 정치인이라는 것은, 나랑 이렇게 앉게 되는 것은, 당원들이 시킨 일이 아닌가. 당원들이 결정해서 자네가 최고위원이라는 지위를 얻고 나는 또 전임대통령으로서 자네를 만난 것이고. 정치는 그것으로써 충분히 화해가 되는 거야. 그런 옛날 문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사과하고 그럴 필요 없어. 이걸로 화해했다고 보세. ”
이렇게 하고 퉁치고 넘어 가시더라구요. 그러니까 개인적 차원에서의 정의와 옳고 그름의 잣대, 현실 정당 정치인으로서의 타협과 관용. 그러면서도 이인제의 원칙 없는 정치에 대해서는 양보할 수 없다는 마음, 그럴 경우는 반드시 도전해서 싸워서 이겨내는 정신. 그런 복합적인 것에 정치인 노무현의 훌륭한 리더십이 있는 거죠.
총: 다시 제 질문으로 돌아가서. 그러니까 처음 출마 선언할 때는 양보할 수 있다, 그런 생각 있지 않으셨나요. 예를 들어서 그나마 노무현대통령이 인정했던 선배 중 하나가 김근태 정도 되는 거 아닙니까.
안: 민주화운동의 선배로서 인정했죠.
총: 그래서 혹시 김근태가 경선에서도 힘을 받으면 김근태를 밀어줄 수 있다 이런 생각 하고 나가신 건가요? 97년 김대중 때처럼.
안: 그때 금강캠프에서 했던 이야기가 이인제한테 지면 승복할 자신이 있나 이런 거고. 조금 있다가 이런 말도 하셨어요. 경선해서 김근태가 나보다 지지율이 안 올라오면 어떻게 하느냐...
총: 더 나오면 밀어줄 수 있는데?
안: 더 나오면 얼른 김근태를 밀어주지. 둘이 싸울 일이 뭐 있냐. 근데 그때 되어서도 김근태가 나보다 지지율이 안 오르면, 그때는 김근태가 나를 밀어야 되는데 그때는 어떻게 하나. 이 고민을 2001년도 초반에 했었죠. 김근태라는 화두 때문에. 노무현대통령이.
총: 그랬구나.
안: 그래가지고 심지어 2001년도 막판에 한화갑 김근태 노무현 셋이 단일화해야 된다고 이야기 나왔을 때 노무현 후보가 쾅, 하고 오백원짜리 동전을 내놓더니 여기서 이걸로 결정을 합시다.(폭소)
진짜, 노무현 답다.
총: 푸하하하하. 그럼 비슷한 맥락의 질문인데 지지율이 한참 떨어질 때 그러니까 후보로 결정되고 나서 후단협도 나서고 난리 나고 정몽준 나와서 단일화해야 한다고 그럴 때. 아까도 말씀하셨지만 단일화가 억울할 일이잖아요. 당연히 다 반대했을 것 같은데 캠프 안에서는. 힘겹게 힘겹게 재산 모아서 거기까지 왔는데 갑자기 부잣집 아들이 나타나가지고 한 방에 다 먹으려고 하는 거 아닙니까. 그거 정말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 같은데. 노무현대통령은 그때 상황에 밀려서 간 겁니까. 아니면 정말로 정몽준한테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한 겁니까?
안: 그거는 현실정치인의...(긴 침묵) 민심과 여론을 향한 서핑이죠. 그 상황에 딱 들어가 버리면, 승리의 카드가 누구냐 이런 논의에 딱 들어가 버리면 그 게임에 대해서 충실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노무현 후보가 정몽준 후보하고 단일화를 받았을 때 제 마음이 너무너무 힘들다 그랬더니,
“ 하지만 이거 안 하고 그냥 가면 이길 수가 없겠지? 그렇게 해서 지면, 야당이라도 우리가 온전하게 지킬 수 있겠는가? 못 지키겠지? 양김이 87년에 분열 되어서 우리가 지금도 이렇게 난린데, 또 다시 분열로, 국민들에게는 분열로 설명이 될 텐데, 그 분열에 의해서 선거에 져 버리고 나면, 그 귀책사유의 책임을 생각해 보게. 이건 어쩔 수 없는 것이네. 이건 받아들이게. 그걸 받아낸 상태에서 또 이겨낼 생각을 하세.”
이러셨어요.
총 : 여론조사가 그때 노무현 후보에게 불리하지 않았습니까?
안 : 그게 정치인 노무현의 방식이죠. 오히려 여론조사가 가장 밀렸을 때, 정몽준씨보다 뒤쳐졌을 때 정몽준씨가 스스로 유리하다고 하는 발상을 역발상으로 받아버리는 그 타이밍은 순전히 노무현의 정치 감각이죠. 자기가 우위에 있을 때, 기세를 가지고 공세를 취해서 빨리 단일화해야 한다는 게...
총 : 그게 보통 정치인들 하는 짓이잖아요.
안 : 예. 하지만 스스로 몰린 상태에서 그걸 기죽지 않고 당당하게 받아쳐 버리는 게, 그게 노무현의 방식이죠.
총 : 사실은 그래서 사람들도 노무현을 살려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 건데. 저 사람을 살려내야 한다. 그래서 여론조사가 뒤집어 졌죠. 사실 그런 배짱과 감각은 타고 나야 하는 거거든요. 머리로 되는 게 아니라. 품성이죠. 그리고 후단협 나오고 그런 내부 논란이 있었던 건 지지율이 떨어져서도 그렇지만, 사실은 노무현이 대선후보급의 자금을 땡겨 온다거나 세를 만들거나 그런 게 없어서였던 거 아닙니까.
안 : 없었죠.
총 : 그래서 그렇게 후단협 나오고 그랬던 거 아닙니까?
안 : 전통적 방식의 보스 권한, 그런 걸 사용하지 않았고, 그리고 전통적 방식의 보스 의무를 하지 않았죠. (웃음)
총 : 그러니까 돈을 안 땡겨왔다는 거 아냐(폭소) 아, 못 땡겨온 건가. 안 땡겨온 게 아니라.
안 : 아, 안 땡겨온 겁니다.
총 : 그래요?
안 : 제가 손댈까 싶었는데, 후보가 못하게 하셨어요. 2002년 4월에 우리가 후보가 됐어요.
총 : 근데 돈을 안 땡겨오면 정치판에선 말빨이 안 서잖아요. 후보가.
안 : 그렇죠. 후보가 딱 등장을 해서 사무총장 불러다가 당 자금 철철 넘치게 해 주고, 선거대책 본부장들한테 딱딱.
총 : 꽂아주고.
안 : 꽂아주고.
총 : 그래야지 조직이 움직이고...
안 : 그러면 사람들이 아- 역시 우리 보스가 이제 대세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줄 서게 되는 거죠. 그런데 그 과정에서 빚을 진 것을, 대통령 되면 무슨 수로 갚습니까. 그래서 노무현 대통령이 그런 걸 일체 못하게 했어요. 저는 그렇게라도 해서 후보의 지위를 굳건하게 하려고 마음이 흔들렸었는데, 노무현 후보가 못하게 했어요.
총 : 아이, 참 잘하셨어요.(폭소) 그런데 막판에 정몽준이가 삐져 가지고 집에 쳐박혀 있을 땐 뭐라고 하던가요? 사람들이 막 사과하러 가야한다고 그랬었잖아요.
안 : 저도 그때 과로로 링겔 맞고 있다가 그 얘기를 듣고서는 링겔 뽑고 달려갔어요. 당사에. 그랬더니 후보사무실에 수 십 명의 국회의원들이 와서 왜 후보가 그런 말을 해 가지고 다된 밥에 재를 뿌렸느냐 그러면서 모두가 후보들을 비난을 하는 거예요. 정몽준씨 옆에 있는데 자 우리에게도 후보가 있습니다. 정동영~ 추미애~ 올라와보세요 해서 정동영 추미애 손을 흔들어주니까 정몽준씨가 노무현 다음에는 나다, 이렇게 모양이 갖춰주길 원했는데 이거는 배신이다 이러면서 간 거 아니에요. 그런 상황에 대해서 후보에게 막 힐난을 하고 있더라구요. 그때 난 실무자였으니까. 소리를 지를 수도 없는 그런 상황이었는데. 그때 정동영 의원이랑, 정대철한테 그랬어요. 정말로 저는 참을 수가 없습니다. 이 사람들 대체 왜 이럽니까.
총 : 노무현 대통령이 앉아 있는데?
안 : 예. 소파에 앉아 있는데.
총 : 앉아 있는데 수십 명이 둘러싸고?
안 : 예. 그러고 난리를 부리더라고요.
총 : 으하하하하. 난리..
안 : 너무너무 화가 나는 거예요 그 상황이. 후보는 가만 앉아 있고. 그렇다고 자기가 소신 없는 발언을 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난리 났다고 하는 사람들한테 자기가 화를 낼 상황은 아니고. 그러니까 아주 난감하게 그냥 죄인처럼 앉아 계시는데 미치겠더라고. 화가 나서. 그래서 사람들 다 물리치게 하고 김한길 위원장하고 네다섯 명 만나 가지고 최종적으로 집에 한 번 찾아가서 정몽준씨 철회를 요청하기로 하자. 노무현 후보는 안 가려고 했어요. 그 집에도. 철회를 하면 그 사람이 하는 거지, 하면서. 그러셨는데 결국은 끌려간 거죠. 끌려가다시피 해서 정몽준씨 집 앞까지 갔다가 외면당하고 돌아오셨죠.
총 : 가긴 잘 가셨잖아요.
안 : 아, 다들 나중엔 가기 잘 가셨다고... (폭소)
총 : 노무현 대통령이 그런 다음에 뭐라고 하시던가요? 정몽준 집에 쳐 박히고 사람들이 큰일 났다고 할 때.
안 : 그 날 투표 하시고 서울로 올라오셨는데, 개표방송을 여의도 한 호텔에서 나랑 수행비서랑 대통령이랑 넷이서 앉아서 봤어요. 초반에 보다가 노무현 대통령이 난 들어가 잘란다, 그러시더라구요. (폭소)
총 : 크하하하하... 아니 본인이 대통령이 되나 마나 하는 개표를 보다가.
안 : 아니 개표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폭소)
총 : 그러는데 들어가서 잔다구요?
안 : 출구조사는 우리가 이기는 걸로 나왔어요. 만세 부르고 난리 났죠. 그런데 난 잔다고 하시더라구요. "확정이 됐을 때쯤에 깨워주게" 하면서.(폭소)
총 : 으하하하 확정이 될 때쯤 깨워주게 으하하하하....
노무현은 참, 노무현이다.
안 : 그때 큰 방을 얻었는데, 우린 응접실에서 보고 있고, 노무현 대통령은 안에서 주무시고, 열시 반인가 열한 시 쯤 깨워드렸나. 모시고 나와서 당사에 가서 만세 부르고, 그랬죠.
총 : 제 말은 그 전날 정몽준 집에 갔다가...
안 : 그 뒤로는 그 이야기 일체 안 했어요.
총 : 그랬군요.
안 : 그 다음 날 제가 뵐 기회도 없었구요.
총 : 그런데 들어가서 잤어요? 하하하하. 잠이 오나 몰라요?
안 : 실제로, 일어나셨을 때 얼굴 보면 정말로 잔 얼굴이에요, 그 얼굴이.(웃음)
총 : 하하하. 뒤에서 혼자 보고 오신 거 아냐?(폭소) 혼자서 이불 뒤집어쓰고 라디오로 듣다가.(웃음) 근데 다른 사람한테도 그런 이야기 들은 적 있는데 뭔가 큰 일이 있어서 다들 긴장하고 그럴 때 노무현 대통령은 그냥 자 버린다고 하더라고.
안 : 맞아요.(웃음)
이제 오늘의 질문을 할 차례다.
총 : 아까 생수사업 잠깐 얘기하셨는데 결국 그 일로 재판받고 말이죠. 이게 제가 생각해도 이게 참 억울해요. 그게 뇌물이란 게. 근데 어쨌든 감옥 갔단 말이죠. 억울하게.
안 : 예.. 그때 사실 굉장히 억울했죠. 2004년도 12월에 구속이 되었을 때. 그 당시 대통령이나 저나 했던 고민으로는, 이건 그냥 여야간 정치적으로 무마하고 타협하고 가는 것이 옳으냐... 아니면 꺼내 놓는 게 옳으냐... 그때 판단으로는 꺼내놓자. 그러면서 기업의 비자금 문제도 이번 기회에 널어서 말려야 되지 않겠냐, 햇볕에.
총 : 네 뭐 그런 대의와 명분 다 좋은데, 이건 본인 얘기 아닙니까. 본인이 감옥이 가느냐 마느냐.
안 : 2003년 2월에 인수위에서 제가 빠지고, 독립선언을 했었던 시점서부터 수사 받을 결심을 했던 겁니다. 이게 안 나올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럼 수사를 받자. 그때 제 심정이 어땠냐 하면 본진은 이제 앞으로 출발하고 나 혼자, 다리 부상 입은 놈이 혼자 남아서 추격꾼들을 맞아야 되는 상황인 건데.
총 : 게다가 그걸 영광스럽게 혼자 다 처치하고 다시 본진에 합류하는 것도 아니고.
안 : 내가 여기서 이겨서 본진에 다시 합류할 가능성이 있을까. 그렇게 희망을 품어 봤지만, 아무리 봐도 그런 희망은 없었어요. 끝내 5년 내내 본진에 합류하지 못했지요.
총 : 지금이야 안희정 하면 의리, 의리의 이미지가 만들어졌어요. 정말 그래요. 이제는. 근데 생각해보면 젊은 시절 다 바쳐서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만들었는데 그 영광은 단 한 번도 못 누렸단 말이죠. 최소한의 영광을 누릴 기회조차 없었어요. 당선 되자마자 청와대도 못 들어갔고, 청와대는커녕 감옥 갔고, 나와서도 공천도 못 받았고. 그러니까 그 5년 내내 아무런 혜택을 못 누렸어요. 이게 억울하지 않았어요 진짜로?
그리고 제 기억으로는, 문재인 수석도 안희정 건을 구속 쪽으로 이야기한 걸로 압니다. 그렇다면. 사실상 버려진 거잖아요. 그때 일을 가지고 기업 비자금을 햇볕에 말리네, 하는 무슨 역사적 의미고 나발이고, 실제 당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건 정말이지 야속하고 섭섭한 거 아닙니까. 게다가 그 이후가 보장된 것도 약속된 것도 아무것도 없고.
안 : 예 뭐 저한테는 굉장히 어려운... 저뿐 아니라 가족들한테는 뭐 굉장히 어려운...
총 : 본인은 그나마 그 논리라도 이해하잖아요. 마음은 힘들고 몸은 힘들어도. 그런데 가족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가 없는 거죠. 그게. 평생을 바쳤는데 다들 영광을 누릴 때 혼자만 감옥 간다니. 그것도 혼자 그 돈을 먹으려고 한 것도 아닌데.
안 : 그래서 대통령이 취임하시고 나서 5월인가 6월 국민과의 대화 시간에 안희정씨는 제 동업자입니다 라고 대답을 하신 거죠. 측근인 안희정씨가 이렇게 됐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이렇게 질문을 했더니, 안희정씨는 제 동업자입니다 라고 대답을 했어요.
총 : 음...
안 : 그래 가지고.....(보좌진 들어어고 시간이 없단 사인을 한다) 아, 근데 이제 시간이 다 된 거 같은데(폭소)
총 : 크하하... 근데 이제 겨우 반 했는데.
안 : 에? 진짜 반 했어요?
총 : 반이죠. 출마한다고 왔는데 아직 출마 이야기는 꺼내지도 못했잖아. (폭소) 이거 한 번 더해야겠네. 오늘은 일단 삼십 분만 더 주시고.
보좌관 : 아니 그럴 수가... 벌써 밖에 와 계신데. 교수님하고, 컨설팅 회사에서.
총 : 그럼 한 번 더 올 게요. 2부를 한 번 더 하죠.(웃음)
안 : 하하.. 예...
총 : 그럼 이 1부를 한 십 분만 더 주세요.
안 : 아... (보좌관과 눈 마주치며) 그래요.
총 : 아직 출마도 안 했기 때문에 (폭소)
안 : 그때 집에서 TV를 보다가 1차 구속영장이 기각되고 나서 집에 있을 때였는데, 그 TV를 보다가 깜짝 놀랐어요. 대한민국 대통령이, 그때가 2003년도니까 7년 전이면, 제 나이가 마흔. 젊은 참모한테 대통령이 동업자라고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그것도 지금 비리 혐의를 받고 있는 사람한테. 이게 대통령한테 엄청난 공격거리가 될 거고.
그래서 그 며칠 뒤에 한 번 볼 기회가 있어서, 일요일 날 밥 한 번 먹자고 해서 가서 왜 그렇게 말씀을 하셨냐고... 그렇게 얘기 안 하셔도 전 괜찮고, 제 걱정 안 해주셔 된다고 하니까.
"자네걱정 하는 게 아니라 자네 가족들 때문에 그랬네"
하시더라고요. 자네 부모님이나 자네 가족들이 얼마나 힘들까 싶어서 그렇게 말하고 싶었다고. 그 일이 대통령이나 저나 뭐 대통령 편하자고 꼬리 자르기 하는 게 아니라는 걸 너무나 잘 알고, 주류가 보기엔 못 먹을 권력을 먹고 나서 그들에게 완전 당하고 있는 거였거든요.(웃음)
우린 그 면류관을 들고서 절대로 링 밖으로 떠날 수가 없는 팔자였어요. 다른 사람들은 다 세레모니 하고 집에 다 상패 가지고 돌아가지만, 우리는 그 면류관을 쓴 채로 링에서 맞아죽거나 싸울 수밖에 없는 팔자가, 대한민국에서 노무현과 우리들의 도전이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제가 어디에 있든 간에 그러한 시대의식을 같이 했기 때문에, 제 마음이 고통스럽더라도 참아낼 수 있는 힘이 있었죠.
총 : 가족들은 노무현 대통령 욕 안 했나요?
안 : 음...
총 : 인간이라면 욕을 해야 마땅한 거 같은 데요 저는.
안 : 그게...
총 : 둘 사이의 교감이야, 두 분 사이의 일이고.
안 : 근데 우리 부모님이나 가족들이 용케 대통령을 원망하는 마음을 갖지 않았어요. 왜냐하면 대통령이 편안하게 잘 나갔으면 모르겠는데 대통령 임기 내내 하루가 편한 날이 없었잖아요. 만약 안희정은 고생하는데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잘 나가. 그러면 원망이 있었을지 몰라요. 그런데 대통령은 내가 감옥에 가는 거 이상으로 끊임없이 공격을 당하고 시달리고 있는데 누굴 원망하고 할 수가 있겠어요. 임기 5년 내내 그랬잖아요. 그래서 다행히 우리 가족 누구도 대통령을 원망하는 마음이 없었어요.
총 : 초선의원을 대통령까지 만들었단 말이죠. 만드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단 말이죠. 그랬는데 정작 본인은 감옥 가고. 지금이야 다시 의리라는 키워드라도 있죠. 그 5년간 본인은 묶여 있었고 잊혀져있었고 아무런 일도 할 수가 없었고. 무려 5년간이나. 스포트라이트는 예를 들면 유시민 전 장관이 받고, 이런 게 어떻게 억울하지가 않습니까? 인간이.
안 : 왜 그런 마음이 없었겠어요. 그런 마음이 있었죠. 그런 마음이 있었는데 용케 그 피리소리에 현혹되지 않고 잘 버텨왔어요. 돛대에 내 몸을 어떻게 묶었는지 잘 모르겠으나, 하여튼. 물론 노랫소리가 들리죠. 누가 잘 나가고 누가 잘 되고 누가 뭐하고. 그런 얘기 들리지만 그것을 극복했던 첫 번째는 문재인 실장이나 이광재나 유시민씨를 제가 좋아합니다. 좋아하니까 그 사람들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잘 되는 걸 나도 기뻐하려고 노력을 했구요.
여기까진 준비된 답변이다. 평생 훈련된 정치 언어로 정제된 답변. 아마 비슷한 질문에 비슷한 답변을 해왔을 게다. 그리고 본인도 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를 스스로 그렇게 정리해두고 있었을 게다. 하지만 인간이 명분과 논리만으로 모든 난관을 이겨낼 순 없는 거다.
난 정치인 안희정이 아니라, 인간 안희정의 답을 듣고 싶었다.
그래서 묻고 또 물었다.
총 : 아니 청와대에서 그 흔한 무슨 직을 맡은 것도 아니고 감옥 갔다가 국회의원도 못 나가게 하고 장관은커녕 그 어떤 자리도 없었잖아요. 그거는 명예조차 없는 거거든. 허탈하기도 하고 백수니까 경제적으로도 어렵고.
안 : 노무현 대통령이 정몽준한테 패자가 되었을 때, 패자가 어떻게 역사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고 했잖아요. 저도 마찬가지로 큰 배역을 하고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어요. 저도 억울한 마음이 들 때가 있었고 화가 날 때도 있었고 시기 질투 할 때도 있었지만, 지금 내 배역은 이 배역이다. 이 배역도 가장 적극적 배역이라고 저는 생각을 했어요. 그렇게 제 자신의 논리를 만들어서 끊임없이... 그랬죠.
그러니까 저는 제가 그 정도 재목은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웃음) 노무현 대통령한테 그런 정신을 배웠고, 아까 말씀드렸지만 정몽준한테 패자가 되었을 때 아, 정치가 저런 맛으로 하는 거구나, 아 저거다, 저게 진짜다. 길게 봐서 역사를 썼을 때 볼록이만 활동하는 게 아니다. 오목이도 얼마든지 역할을 한다.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곳에서만, 양지에서만 역할이 있는 게 아니라는 생각을 하려고 노력을 했죠.
그리고 대선자금 수사에서 총대 메고 혼자 감옥 갔지만, 그 놈이 대통령과 맺어졌던 의리와 우정과 신념을 변치 않고 잘 버텨서, 5년이 끝나면, 그 끝나는 순간이 저는 제가 시집가는 날이라고 생각을 했어요.
총 : 거꾸로, 그렇게.
안 : 예. 그게 2004년도 감옥에 가서 했던 나름의 마음공부였어요.
총 : 글쎄요.(폭소) 지금이야 다 지나고 나서 하는 얘기지만. 당시에는 씨바 왜 나만 좆 됐어!(폭소)
안 : 하하하하하
안 : 맞아요.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데 그래도 그렇게 생각을 하기보다는...(한참을 생각하다) 그냥 대통령이 난 좋았어요.
그의 눈에 눈물이 맺혔다. 명분과 논리로 현상을 설명하는 데 평생 익숙했던 그 자신도, 처음으로 깨달았던 게다. 그 이유를.
총 : 노무현이 그렇게 좋았나 봐요?
안 : 예. 대통령한테 도움이 되는 길이 있다면 뭐든지 할 생각을 했어요.
총 : 그 정도로 매력적인 사람이었나요?
안 : 예. 아주 좋았어요.
총 : 노무현 대통령을 인간으로서 좋아하신 거 같은데... 한명숙 전 총리 인터뷰 했을 때, 노무현 대통령 서거소식 안희정한테 전화해 물었는데 근데 목소리가 생각보다 담담했다고 그랬었거든요.
안 : 한명숙 총리한테 전화를 했던가? (일어나서 휴지 뽑아서 코 풀고) 잘 모르겠네.(울먹이며) 나도 문 실장한테 전화를 받고 봉하 내려가느라 정신이 없었거든요.
총 : 왜 눈이 빨개지시는 겁니까? (웃음)
안 : 대통령이 좋은 분이다 얘기를 하고 나니까 갑자기 그리워져서. (다시 일어나 휴지 뽑는다. 눈물 닦고. 침묵. 울먹인다.) 맞아요. 내가 그... (다시 코 풀고) (오래 침묵) 아, 이게 참... 하여튼 그 분 도와서 감옥 가는 역할이라도 그 분을 위하는 일이라면 저는 행복했어요.
제가 뭐 억울하다는 생각을 해볼 겨를도 없이 좋았어요. 아...(다시 한참을 울먹인다) 그날 아침에 문용옥씨한테 전화가 왔어요. 형, 대통령이 아프셔서 병원엘 갔다고. 빨리 내려오셔야겠다고. (다시 코 풀고. 한참 침묵) 다른 얘기 안 할테니까 빨리 오라고. 아침 8시엔가... 아마 병원에서 한참 난리를 치고 전활 한 거 같애. 더 이상 가망이 없다고 생각을 했는지. (한참 침묵)
그러고 내려가면서 한 총리님과 통화했던 기억이 잘 안나네. 하여튼 그 당시 가는 내내 믿겨지지가 않았었으니까. 근데 대전쯤 지나 왔을 땐가, 천안 지났을 땐가 그때 서거를 공식화했다고 (눈물...) 아, 그때부터... 언제였지 4월 30일, 31일, 그때 검찰 소환 될 때, 그때 내가 버스를 막아서라도 못 가게 했어야 하는데. 그때 막았어야 했는데.(눈물...)
이 대목에서 그는 한참을 울었다.
아 씨바, 눈물 참느라 혼났다.
총 : 이창동 감독이 그런 말을 하더라고요. 그때 출두해서 포토라인에 서서 사진을 막 찍고 그러다가 노대통령이 이제 그만 합시다... 하고 들어갔는데. 그때 이제 그만 합시다.. 하고 말하는 표정을 자기가 봤는데. 그때 자기는 굉장히 불안했답니다 그 말이. 그게 특별한 말이 아니었지만. 이상하게 어떤 불길한 느낌이 왔다고..
안 : 그 전 날 저녁에 여럿이 몰려가서 인사드리고 할 때 대통령이, 참여정부 때 장관들 앞에서 '면목 없습니다.' 하시는데, 내가 앞에 앉아 있다가 그런 말 하지 마세요. 왜, 면목이 없습니까. 대통령 권력을 가지고 박연차 뭐 봐주신 거 있습니까. 대통령 권력으로 박연차 뭘 봐준 거 없잖습니까. 퇴임하고 나서 봉하마을 도움 좀 받았습니다. 그게 대통령 권력하고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그거 권력형 비리 아닙니다. 오래된 후원자가 퇴임한 대통령을 위해서 도네이션 한 건데 그게 뭐가 문제입니까. 그랬더니 노무현 대통령께서 굉장히 겸연쩍어 하시면서.
"그 소리를 내가 할 수 있나...."
그러니까 그 소리를 누군가 대신 해줬어야 돼. 그 소리를 누군가가 해줬어야 되는 거였는데. 그런데 그때 이광재나 안희정이나 다 팔다리가 부러져 있었거든. 나도 대전지청에서 십억을 받았느니 십오억을 받았느니 해서 조중동이 난리를 치고 있는데, 그렇게 진흙 묻은 놈이 '우린 권력형 비리가 아냐~'하고 소리를 지른들 대통령한테 누나 끼치는 거지. 완전히 주변 팔다리 다 잘라 놓고 안방에 들어와 버린 거죠. 자객이. (담배에 불붙이고 한 모금 빨더니) 맞다. 나, 출마 이야기해야 하는데.(대폭소)
총 : 자, 이제 출마 이야기 합시다.(대폭소) 시간이 없으니 딱 한 가지만 얘기할 게요. 나 이명박한테 복수하고 싶다 씨바. 이런 사람은 많지만 방법을 못 찾고 있어요. 민주당은 미덥지 않고 참여당은 아직이고. 마음 줄 데가 없는 거죠.
안 : (연기 뿜고) 그래서 제가 충남 도지사에 출마합니다.(대폭소) 이번 지방선거에서 충남도지사 안희정의 승리는 이명박 대통령에겐 가장 가슴 아픈 패배가 될 겁니다. 16개 시도지사와 대통령이 협의하는 광경을 상상해 보십쇼. 그 분을 20년 가까이 모셔왔던 참모가, 그분이 세웠던 균형발전과 정책적 가치를 모두 기치로 내세워서 국민의 선택을 받아서 승리한다는 것. 훗날 역사가 이 상황을 뭐라고 기록하겠습니까. 저는 그 역사에 기록을 남기고 싶습니다. 제가 도전하는 가장 큰 이유가 이 역사를 기록에 남기기 위해서입니다.
이 역사의 기록은 내가 그때 뭐라고 떠들고 주장했느냐가 아니라 국민들이 당시 어떤 가치판단을 내렸고 어떤 결론을 내렸느냐가 중요한 겁니다. 후임대통령이 전임대통령을 모욕주고 망신주고 끝내 죽음으로 내몰았으나 그를 위해서 끝까지 의리를 지키고 그의 가치를 위해 헌신해온 안희정이가 그 죽음의 부당함을 알리면서 그 이듬 해 선거에서 승리했다. 그리고 그 승리가, 노무현 정신의 계승하는 출발점이 된다. 역사는 기록하는 자의 것이고 그 기록은 승리를 통해서 완성되는 겁니다. 그래서 도전하는 겁니다.
총 : 선거 이야기 이제 시작했는데, 바로 끝나네. (폭소) 후반전은 다음에 하죠. (웃음)
안 : 그렇게 하시죠. (웃음)
그렇게 출마 인터뷰하러 갔는데 결국 출마의 변은 딱 1분 듣고 끝이 났다.
그러나 그 1분으로 충분했다.
난 사실 안희정에게서 딱 한 가지만 궁금했다. 그는 왜 노무현을 떠나지 않았을까. 5년이면 짧은 세월이 아니다. 더구나 다들 나름의 방식으로 보상을 누리고 있을 때 오히려 버림받고 잊혀 진다는 건, 그 외로움과 배신감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상상하기 힘들다. 더구나 그 끝에 어떤 대가가 기다리고 있는 것도 아니다. 이런 건 명분이나 논리로 설명이 안 된다. 실은, 무작정이라고 해야 옳은 게다. 그는 왜 무작정, 노무현 곁을 지켰을까. 난 그게 궁금했다.
이제 알겠다.
그래서 그의 곁을 떠날 수가 없었구나.
이제 알겠다.
노무현이 왜 그를 위해 눈물 흘렸는지.
그리고 또 이제야 알겠다.
인간 안희정이 어떤 사람인지.
정치인 안희정이 아니라,
인간 안희정의 선전을,
진심으로 기원하는 바이다.
선거 끝나고, 다시 한 번 그를 만나야겠다.
[출처] http://www.ddanzi.com/news/19680.html
아이폰 트위터 독수공방 이미지 (0) | 2010.06.26 |
---|---|
6.2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0) | 2010.05.25 |
故노무현대통령 1주기 추모전시회 (0) | 2010.05.10 |
갤러리 루미나리에 (0) | 2010.05.09 |
용산도서관 담쟁이덩굴 (0) | 2010.05.01 |
노무현 대통령의 추천 안희정 (0) | 2010.06.13 |
---|---|
붉은악마 거리응원 결정과 관련하여... (0) | 2010.06.10 |
공하™의 종교관 (0) | 2010.01.30 |
쌀쌀한 날씨 덕분에... (3) | 2009.11.15 |
며칠 열병을 앓고... (0) | 2009.08.20 |
지난 꿈에 제곁에 계셨던 당신
강물처럼 당신의 뜻을 따르겠습니다.
gongha™
6.2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0) | 2010.05.25 |
---|---|
[新뽕빨이너뷰] 안희정을 만나다. (0) | 2010.05.23 |
갤러리 루미나리에 (0) | 2010.05.09 |
용산도서관 담쟁이덩굴 (0) | 2010.05.01 |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 (0) | 2010.04.28 |